도시·부동산개발전공

이명훈 교수

이명훈 교수

대학원장 (전임교원)
 

 square-fill 교수소개 square-fill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이명훈 교수는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츠쿠바대학교에서 도시.지역계획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저서로는 토지이용계획론, 도시개발론 등이 있으며, Journal of the City Planning Institute of Japan, URBAN HOUSING SCIENC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국토계획, 도시행정학보 등 국내외 학술지에 100여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논문우수상,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공로상 등을 수상했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위원,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위원, 해양수산부 중앙항만심의위원회 위원, 한국도시계획가협회 부회장, 한국도시재생학회 학회장, 한국도시정책학회 부회장, 마장축산물시장 도시재생 총괄코디네이터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담당과목은 도시재생론, 도시성장관리, 도시공간계획론, 토지이용계획특론, 도시및부동산관계법규 등이다.  


square-fill 학력 square-fill

 한양대학교 공학사  

한양대학교 공학석사

츠쿠바대학교 도시지역계획학 석사

츠쿠바대학교 도시지역계획학 박사

 

square-fill 경력 square-fill
1999 ~ 현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교수

2019 ~ 현재 성동구 규제개혁위원회 위원장

2019 ~ 현재 한국재생학회 학회장

2015 ~ 2019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18 ~ 현재 국무총리실 도시재생실무위원회 위원

2018 ~ 현재 서울시 도시재생위원회 위원

2017 ~ 현재 해양수산부 중앙항만정책심의회 위원

2016 ~ 현재 국토교통부 기업형임대주택통합심의위원회 위원

2014 ~ 현재 일본 츠쿠바대학 객원교수

2011 ~ 2013 한양대학교 대학평의원회 평의원

2011 ~ 2013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09 ~ 2011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square-fill 주요저서 square-fill

토지이용계획론  

도시개발론

     

square-fill 수상경력 square-fill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우수논문상(2001~2012)

    
square-fill 학회활동 square-fill

 한국도시재생학회 학회장

한국도시정책학회 부회장

한국도시계획가협회 부회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상임이사

 

square-fill 연구관심분야 square-fill

도시재생, 토지이용계획 및 정책, 도시개발관련 법규, 성장관리

    

square-fill 주요논문(최근 3년) square-fill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Jangwi Urban Regeneration Community (SUSTAINABILITY, 제11권, 제1485호, 2019. 8.)
Developing Sustainable City Indicators for Cambodia through Delphi Process of Panel Surveys (SUSTAINABILITY, 제11권, 제3166호, 2019. 5.)
부동산경매절차상매각가율에미치는영향요인 (도시행정학보, 제31권, 제4호, 2018. 12)
부주민주도형 소규모 지주공동체사업의 현물출자에 따른 과세 제도에 관한 연구: 민법상 조합형태 사업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31권, 제4호, 2018. 12)
주택재건축사업 토지분할 갈등 개선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30권, 제5호, 2018.12)
도시선형공원에서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거주자와방문자의 차이 연구- 경의선숲길 연남동구간을 대상으로 - (국토계획, 제53권, 제5호, 2018.10)
공급자와 수요자 측면 분양형 호텔 리스크 관리방안중요도 분석 (국토계획, 제53권, 제5호, 2018.10)
The Process of Building Community Resilience in Residential Regeneration Activities in Jangsu Village, Seoul, Korea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제17권, 제3호, 2018.9)
친환경 공동주택의 환경요인과 주거만족도 및 거주의도 -서울시 뉴타운 시범지역을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8.9)
도시재생을 위한 시민참여 교육프로그램의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9권, 제4호, 2017. 12.)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리질리언스 구축 가능성 (한국지방행정학보, 제14권, 제3호, 2017. 12.)  
거주자 및 상인 집단의 도시재생사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주택도시연구, 제7권, 제3호, 2017. 12.)
거리가게(노점) 특화거리 조성사업에 따른 상업가로 변화 (국토계획, 제52권, 제7호, 2017. 12.)  
노후저층주거지 재생과정에서 지역사회(Community) 활동 간 관계구조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52권, 제7호, 2017. 12.)  
주택재건축사업 토지분할청구 갈등원인 연구 - 사례 및 판례 중심으로 - (집합건물법학, 제24권, 2017. 11.)  
최초 주택구입자 주거 이동시 주택규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집합건물법학, 제22권, 2017. 11.)
상인 연령별 영업환경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종로구 역사문화거리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0호, 2017. 10.)  
지하철 2호선 역세권 별 유출입특성과 역세권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7. 09.)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도시개발 및 관리 평가지표: UN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의 목표 11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7. 09.)  
도시재생사업 평가요소에 대한 주민-전문가 간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설계, 제18권, 제3호, 2017. 06.)
사회적경제조직의 네트워크 효과에 따른 지역사회 영향 분석 : 성수동 소셜벤처 밸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9권, 제2호, 2017. 06.)
공익사업 해제지구의 실증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52권, 제3호, 2017. 06.)  
도시재생사업의 참여주체별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3권, 제6호, 2017. 06.)  
근현대 건축물의 재생 및 활용을 위한 지역주체의 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3권, 제6호, 2017. 06.)  
분양형 호텔의 수익률 영향요인 분석 및 리스크 관리방안 (부동산정책연구, 제18집, 제1호, 2017. 05.)
최초 주택구입자의 주거 이동과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7. 03.)  
지역의 건축자산 보전 및 활용체계 구축방향에 관한 연구 - 일본의 가나자와 마치야 사례를 중심으로 - (국토계획, 제52권, 제1호, 2017. 02.)  
Conservation Management of Historical Assets Through Community Involvement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2017. 01.)

성현곤 교수

성현곤 교수

주임교수 (전임교원)
 

 square-fill 교수소개 square-fill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교수로서 도시개발, 교통계획, 대중교통 중심 개발, 토지이용-교통-ICTs 통합, 공공시설 계획 및 관리, 건강도시, ICTs의 일상활용과 소비행태 변화, 상권분석, 행동과학과 도시 등의 다학제적·융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고급 통계분석, 공간계량분석, 부동산 시계열분석학, 시공간 빅데이터 분석학, 데이터 마이닝, 텍스트 마이닝, 머신러닝과 딥러닝 등 계량분석 방법론을 강의하고, 이를 연구 방법론으로 주로 활용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학사와 석사, 그리고 미국 UCLA 도시계획학 박사 등 학위를 수여받았으며, 이후 한국교통연구원(2005~2014)과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2014~2021)에서 해당 분야에 대한 연구와 교육, 그리고 인재육성에 힘을 쏟아 왔다.
도시는 사람들이 거주하고, 일하고, 쇼핑하고, 여가생활을 즐기면서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며 유기적으로 살아가는 공간이다. 우리는 이러한 공간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보다 더 활기 찬 삶의 활력을 불어넣고, 보다 더 건강하고, 보다 더 편안하게, 그리고 보다 더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어떠한 물리적·비물리적 환경의 변화를 기대한다. 도시계획에 관심을 가진 이래로 이러한 변화를 유인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하여야 하며, 그리고 어떤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지속가능한가에 대한 고민과 관심이 많다.

square-fill 학력 square-fill
2000. 9 – 2005. 3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도시계획과 졸업, 도시계획 박사
1996. 3 – 1998. 2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공학과 졸업, 도시공학 석사
1988. 3 – 1996. 2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졸업 도시공학 학사
 
square-fill 연구 및 교육경력 square-fill
2014. 9 – 2021. 2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교수
2005. 2 – 2014. 8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
2001. 9 – 2004.12 Research Assistant, Urban Planning at UCLA
1998. 3 – 2000. 6 서울연구원 도시경영연구부 연구원
 
square-fill 섣.박사 학위논문 square-fill
◎ 박사논문: “Transit-Friendly Areas in California: The Role of Residential Relocation and Housing Development in Increasing Rail Ridership", 도시계획학,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05.3. [지도교수: Randall Crane]
◎ 석사논문: “포스트포디즘 생산체계로의 전환과 한국의 신산업공간 발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1998. 2. [지도교수: 최막중]
 
square-fill 연구실소개 square-fill
유투브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yIgvw0HEp2s

.

이수기 교수

이수기 교수

교수 (전임교원)
 

 square-fill 교수소개 square-fill

이수기 교수는 2012년 9월부터 한양대 도시공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학사와 석사를 취득하고 미국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도시건축대학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오하이오주 Cleveland State University에서 조교수와 부교수 그리고 도시계획석사 프로그램 Director를 역임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토지이용과 공간구조(land use and urban spatial structure) 분석, 스마트 성장과 뉴어바니즘(smart growth and new urbanism), 도시형태분석(urban morphological analysis), 보행 및 가로활력과 보행자 교통사고, 도시재생과 도시설계(urban regeneration and urban design), 토지이용-교통-환경-공중보건 통합연구, 대도시권 공간분화와 성장관리 등이다.

구체적인 연구 주제는 도시의 건조환경이 보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시의 물리적 특성이 신체활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역할, 도시설계의 효과분석을 위한 정량적 지표개발, GIS와 Space Syntax를 이용한 도시형태 분석,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공간구조 분석, 대도시권 내부의 공간분화현상과 공간의 쇠퇴와 성장에 관한 연구 등이다. 현재 미국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Editorial Board(편집위원),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편집위원, "국가정책연구" 편집위원, “지역개발연구” 편집위원, “국토도시공간연구” 편집위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제위원회 부위원장, 한국도시설계학회 학술위원회 위원 등 학술활동을 하고 있다.


square-fill 학력 square-fill

박사(2005), 미국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A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석사(2004), 미국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A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석사(1997),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공학석사
학사(1994),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공학학사


square-fill 경력 square-fill

2012.09  ~ 현재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부교수

2011.08-2012.08 Cleveland State University, Cleveland, OH, Dept. of Urban Studies 부교수
2011.09-2011.12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객원교수 (Visiting Professor)
2010.08-2012.08 Cleveland State University, Cleveland, OH, M.S. in Urban Studies, Program Director
2005.08-2011.08 Cleveland State University, Cleveland, OH, Dept. of Urban Studies 조교수
2005.01-2005.05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City &Regional Planning, 강사
1999.08-2005.01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City &Regional Planning, 강의/연구 조교
1997.11-1999.06 국토연구원, 자원환경연구실, 연구원
1996.03-1997.02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연구실 연구조교

 

square-fill 주요저서 square-fill

2015. The New American Suburb: Poverty, Race and the Economic Crisis (공저), Farnham: Ashgate.

2015. 지역 및 도시경제학 (공저), 홍문사
2015. 토지이용계획론(4정판) (공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저. 보성각


square-fill 주요논문 square-fill

2016. 하재현, 이수기. API 경로안내 정보를 활용한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 취약지 분석-고용 중심지로의 이동성을 중심으로 (forthcoming)

2016. 조혜민, 이수기. 보행목적별 보행활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특성분석: 주관적 인지환경과 객관적 측정환경의 차이를 중심으로(forthcoming)
2016. 하재현, 이수기.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통근통행 추정과 통근네트워크 구조분석-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와 비교검증을 통한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forthcoming)
2016. 박철영, 이수기. 가로환경 특성이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가로 세그먼트 분석단위와 공간통계모형의 적용.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7(3): 105-121.
2016. 서지민, 이수기. 서울시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2014 TAAS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1(3): 197-216.
2016. 이창관, 이수기. 서울시 주거지의 근린환경특성이 개인의 신체활동과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12) 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1(3): 217-239.
2016. Woo, A. and Lee, S. Illuminating the Impacts of Brownfield Redevelopments on Neighboring Housing Prices: Case of Cuyahoga County, Ohio in the US. Environment and Planning A. 48(6): 1107-1132.(SSCI)
2016. 이수기, 고준호, 이기훈. 근린환경특성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서베이 2013년 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1(1): 167~185.
2015. 유치선, 이수기. 근린환경, 사회적 자본, 그리고 커뮤니티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인과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토계획, 50(7): 5~23.
2015. Sung, H. and Lee, S. “Residential Built Environment and Walking Activity: Empirical Evidence of Jane Jacobs’ Urban Vitalit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41:318-329.(SSCI)
2015. 이수기, 주미진, 하재현. 수도권 1기 신도시 통근통행특성과 공간구조의 변화(1996~2010): 자족성과 중심성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0(5), 5~23.
2015. 하재현, 이수기. “텍스트마이닝 기법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토도시계획 분야 연구동향 분석: 한국의 국토계획과 미국의 JAPA를 중심으로(1998~2014). 국토도시공간연구, 10(1), 12~24.
2015. 유치선, 이수기. 대한제국 한성 도시개조사업의 재평가: 근대도시계획의 보편적 특성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0(3), 5~22.
2015. Sung, H., Lee, S. and Cheon, S. “Operationalizing Jane Jacobs’ Urban Design Theory: Empirical Verification from the Great City of Seoul, Korea”.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35(2), 117-130.(SSCI)
2015. 박선주, 이수기. 한국의 환경산업 현황 및 지역별 상대적 경쟁력 분석: 변이-할당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0(2): 211~226.
2014. 문동진, 이수기, 홍준현. “산업구조의 다양성과 지역 경제 성장: Jacobs의 산업다양성 이론을 바탕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4(4): 35-66.
2014. 이수기, 현은령, 김수민, 이윤성, 유치선. “신체활동을 유도하는 건강증진계단의 참여촉진 디자인 요소 분석: 서울시청 시민청 가야금 건강계단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32:107-117.
2014. 이수기, 이윤성, 이창관. “보행자 연령대별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환경의 특성분석”. 국토계획, 49(8): 91-105.
2014. 현은령, 이수기. “커뮤니티 매핑 기술을 활용한 과학기술 및 디자인융합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디자인지식저널, 32:199-208.
2014. 성현곤, 이수기, 천상현. “주택유형과 대중교통 접근성의 불균등 요인이 통행목적별 보행활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토계획, 49(10): 65-82.
2014. Sung, H., Lee, S. and Jung, S.,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ly Measured Built Environment and Walking Activity in the High-Density and Transit-Oriented City, Seoul, Korea”. Environment and Planning B, 41(4): 637-660.(SSCI)
2014. 이수기, 성현곤, 최막중. “고속철도 역세권 복합용도개발을 위한 이용자의 시설선호도 분석”. 국토계획, 49(6): 211-224.
2014. 이수기, 김수민, 김선아, 이창관, 현은령. “신체활동 친화적인 건강증진 계단 디자인을 위한 사전방향성 연구: 국내외 사례와 이용자 행태 및 디자인 선호도 분석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31: 293-309.
2014. Thanousorn, V., Lee, S. and Choi, C. “Transformation of the Urban Form in Vientiane Capital, Laos in the Perspectives of Politics and Policie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9(4):37-54.
2014. 오주택, 이수기, 이용철. “신호교차로의 교통사고 요인에 관한 연구: 3지 교차로를 중심으로”. 국토도시공간연구 9(1): 35-45.
2014. Sung, H., Choi, K., Lee, S. and Cheon, S., "Exploring the Impacts of Land Use by Service Coverage and Station-Level Accessibility on Rail Transit Ridership”.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36C: 134-140.(SSCI)
2014. 성현곤,이수기,천상현. “보행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티 물리적 환경의 조절효과: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5(2): 173-189.
2014. 성현곤, 최막중, 이수기. “장거리 통행의 교통수단선택 결정요인: 승용차 대비 고속철도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9(2): 245-257.
2013. Lee, S., Choi, C. and Im, W., “Metropolitan Growth Patterns and Community Disparities: Insights from the State of New Jersey”. Citi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Policy and Planning, 30: 149-160.(SSCI)
2011. Lee, S., “Metropolitan Growth Patterns and Socioeconomic Disparity in Six U.S. Metropolitan Areas 1970-2000”.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5(5): 988-1011.(SSCI)

김흥순 교수

김흥순 교수

교수 (전임교원)
 

 square-fill 교수소개 square-fill

 김흥순 교수는 2006년 3월부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취득하고, 미국 Texas A&M University에서 도시 및 지역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과 창원대학교 행정학과에서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도시이론과 사회경제이론에 근간을 둔 도시정책, 도시관리, 도시재생, 마을만들기 분야로 통계와 GIS를 활용한 분석을 통해 도시현상을 실증적으로 진단하고 현실 적합한 정책대안을 제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근대 도시계획 역사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도시계획과 근대성의 함의 및 정체성을 찾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square-fill 저서 square-fill

- 2017, 역사로 읽는 도시이야기, 보성각
- 2015, 도시재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편, 보성각(공저)
- 2012, 도서관이 권하고 전문가가 평하다 : 국회도서관이 주목한 100권의 책, 국회도서관(공저)
- 2009, 도시, 인간과 공간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공저)
- 2008, 도시계획론 5정판, 보성각(공저)
- 2004, 한국 부동산 문제의 이해, 인간사랑2015, 도시재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편, 보성각(공저) 

 

square-fill 연구논문 square-fill

2016, Jaehyeong Nam, Heungsoon Kim, "Studies on Usage Patterns and Use Range of Neighborhood Parks: Focused on ′Regional Area Parks' in Seoul, Korea",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Vol. 15, No. 3
2016, 김흥순, 최성웅,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의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5, 김나리, 김흥순, "문화유산 활용 사업에 따른 방문객 만족도 및 경제성 분석: 인천 중구 테마박물관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0권 7호
2015, Eunha Shin, Heungsoon Kim, “Analysing Green Roof Effects in an Urban Environment: A Case of Bangbae-dong, Seoul”, Journal of Asian Journal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4권 2호
2015, 김흥순, “분당 신도시 개발사업에 대한 사후평가: 효과성, 능률성, 형평성, 대응성을 기준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권 1호
2014, 김흥순, 최재연, 신은하, “옥상녹화사업의 종류에 따른 경제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0권 10호, p.159-167
2014, 김흥순, “갈등관리의 인문학적 성찰: 장자(莊子)의 재해석과 밀양 송전탑 사례에의 적용”,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권 3호, p.1-30
2014, 김태호, 김흥순, “수도권 시군구의 자족성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권 2호
2014, Jaeheyong Nam, Heungsoon Kim,"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City Parks: A Focus on Neighborhood Parks in Seoul, Korea",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Vol.13(2) p.515-522
2014, 김흥순, 남재형, “서울시 보육시설의 공급적정성에 관한 연구: 이용권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0권 3호, p.203-213
2013, 최재연, 김흥순,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한 장소이미지 및 만족도의 내,외국인간 차이에 관한 연구: 이태원 관광특구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8권 7호, p.37-54
2013, Heungsoon Kim, Jaeheyong Nam, “The size of the station influence area in Seoul, Korea : Based on the survey of users of 7 st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Vol.18
2013, 이주한, 김흥순, “서울의 도시이미지 평가를 통한 도시만족도 분석”, 국토계획, 제 48권 제6호
2013, 이윤구, 김흥순, "청계천에 대한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장소이미지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권 3호, p.67-90
2013, 권윤정, 김흥순, “주택침수 지역의 공간적 분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424개 행정동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 48권 제 5호
2013, 김흥순, 원준혁, “주민참여 및 인식도에 있어서 인구통계학적 요인의 특성에 대한 고찰”, 서울도시연구, 제 14권 제 1호, p.93-111
2013, 이민규, 김흥순, “기업형 슈퍼마켓의 입지특성과 소비자 이용행태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5권 제 1호, p.251-274
2013, 최태규, 김흥순, “도시의 물리적 속성이 개인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 48권 제 1호, p.191-203
2012, 원준혁, 김흥순,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사업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제 13권 제 6호, p.55-68
2012, 김흥순, “AHP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거주자들의 주거결정요인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 28권 제 1호, p.227-235
2011, 마세인, 김흥순,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노인복지시설의 접근성 연구: 인천시 내륙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 70권, p.61-75
2011, 이진택, 정다운, 김흥순 “상업적 토지이용의 출·퇴근방향별 차이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 46권 제 1호, p.91-104
2011, 오명택, 정다운, 김흥순, “6대 광역시 부도심 지역의 성장추이 분석과 계획대응방안 연구”, 국토연구, 제 68권, p.207-229
2011, 최준섭, 정다운, 김흥순 “통제집단을 활용한 고속도로 개통의 지역개발 효과 분석”, 국토연구, 제 68권, p.25-41
2011, 김흥순, “인구지표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도시화 성격: 일제 강점기와 그 전후 시기의 비교”,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3권 제 2호, p.19-45
2011, 김흥순,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의 도시화 추이”, 국토계획, 제 46권 제 4호, p.69-92
2011, 김흥순, “일제강점 후기 우리나라 도시화의 동인”,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3권 제 5호, p.1-28
2010, 정다운, 김흥순, “수도권 1기 신도시의 자족성 및 중심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 13권 제 2호, p.103-116
2010, 김흥순, “19세기말 프랑스 인상주의 회화 속에 표현된 파리의 근대적 도시경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6권 제 7호, p.203-214
2010, 김흥순, “왕십리 역세권 침체원인의 규명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6권 제 6호, p.255-262
2010, 김흥순, “신사동 가로수 길과 삼청동 길의 활성화 요인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 26권 제 5호, p.325-334
2010, 김흥순, 정미숙, 정다운,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이주 및 보상대책에 관한 연구: 세운 재정비 촉진지구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제 45권 제 2호, p.21-34
2010, 김흥순, 정다운, “서울시 의료시설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 23권 제 1호, p.27-45
2010, 임동빈, 장옥련, 김흥순, “비도시지역 내 공동주택단지의 밀도 및 옥외공간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제 64권, p.3-20
2009, 장옥련, 임동빈, 김흥순, “경제권역별 산업특성 파악을 통한 산업용지 수요전망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1권 제 4호, p.71-82
2009, 박대근, 정다운, 김흥순, “계획요소의 분석을 통한 도심재생사업의 평가”, 도시행정학보, 제 22권 제 3호, p.295-316
2009, 김흥순, 구경민, 정다운, “서울시 뉴타운 개발이 주변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제 44권 제 4호, p.79-93
2009, 김흥순, “조선 개국 초 한양 천도(遷都) 논쟁”, 국토계획, 제 44권 제 4호, p.21-36
2009, 정다운, 김흥순, “용산공원 조성방향에 대한 서울 시민의 의식조사”, 서울도시연구, 제 10권 제 2호, p.113-126
2009, 김흥순, “조선 후기 도시계획에서 나타난 근대성: 조선왕조실록 기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 22권 제 1호, p.41-67
2009, 김흥순, “조선 전기 도시 토지이용 정책의 가치”, 국토계획, 제 44권 제 2호, p.39-56
2008, 김흥순,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와 캄파넬라의 태양의 도시에서 나타난 공간구조 특성과 도시계획적 함의”, 국토계획, 제 43권 제 6호, p.21-38
2008, 김흥순, “토건국가 두바이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 21권 제 2호, p.291-322
2008, 김흥순, 정다운, “운전자 특성에 따른 교통위반행태 분석”, 서울도시연구, 제 9권 제 3호, p.119-131
2008, 김흥순, “환경문제에 대한 시장주의적 접근의 한계: 비판 사회학적 고찰”, 공간과 사회, 제 29호, p.4-31
2008, 김흥순, “조선후기 산림정책 및 산림황폐화: 시장주의적 고찰과 그에 대한 비판”,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0권 제 2호, p.169-192
2008, 김흥순, 유지곤, “생활체육시설의 입지관련 적정성에 관한 연구: 서울 소재 시설의 이용자 행태와 인식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 21권 제 1호, p.157-183
2008, 김흥순, “새로운 도시개발·관리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대안의 모색”, 도시설계, 제 9권 제 1호, p.77-100
2007, 김흥순, “뉴어바니즘의 국내 적용 가능성 분석; 수도권 주민에 대한 설문조사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 55권, p.155-178
2007, 김흥순, “사회주의 도시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소련 건국 초기 도시주의 대 비도시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 42권 제 6호, p.25-48
2007, 김흥순, “일제강점기 도시계획에서 나타난 근대성: 조선시가지계획령(朝鮮市街地計劃令)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 8권 제 4호, p.155-173
2007, 김흥순, 이창무, 김미경, “역세권개발과 수도권 공간구조 재편”, 국토계획, 제 42권 제 6호, p.67-88
2007, Kim, H., “Building an eco-industrial park as a public project in South Korea”, Sustainable Development, 제 15권 제 6호, p.357-369
2007, 김흥순, “비성별적 도시의 모색 :도시환경요소가 주는 잠재적 범죄위협에 대한 여성인식의 고찰”, 국토계획, 제 42권 제 1호, p.35-50
2006, 김흥순, “뉴어바니즘은 신보수주의 프로젝트인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8권 제 4호, p.97-118
2006, 김흥순, 유지곤, “서울시 생활체육시설의 입지 요인 및 적정성 분석”, 서울도시연구, 제 7권 제 4호, p.37-52
2006, 김흥순, “뉴어바니즘의 실제 :미국 켄틀랜즈의 사례”, 국토연구, 제 51권, p.109-130
2006, 김흥순, 이명훈, “미국 도시미화 운동의 현대적 이해 :그 퇴장과 유산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 7권 제 3호, p.87-106
2006, 김흥순,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과 대안적 계획이론의 모색”, 국토연구, 제 50권, p.19-37
2006, 김흥순, “뉴 어바니즘, 근대적 접근인가, 탈근대적 접근인가?”, 도시행정학보, 제 19권 제 2호, p.49-74
2006, 김흥순,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본 뉴어바니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 9권 제 2호, p.125-138
2006, 최창규, 김흥순, “공간과 관계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 사이버 공간”, 국토계획, 제 41권 제 3호, p.163-179
2006, 김흥순, “시장대립적 도시계획의 정당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시장친화적 시각에서의 문제제기”,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8권 제 1호, p.161-190
2005, 김흥순, “뉴 라이트 계획은 가능한가?: 영국과 미국에서의 경험과 그 시사점”,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7권 제 4호, p.153-178
2005, 김흥순, “한국에서 지속가능성 이념의 실현 양태”, 담론 201, 제 8권 제 1호, p.60-91
2005, 김흥순, “지방산업단지의 생태산업단지화에 관한 주민인식: 진주 상평산업단지 사례”, 도시행정학보, 제 18권 제 1호, p.51-76
2005, 김흥순, “산업단지의 환경문제에 대한 주민의식조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7권 제 1호, p.117-141
2004, 김흥진, 김흥순, “노인보행자 교통사망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 17권 제 3호, p.139-163
2004, 김흥순, 강정운, “생태산업단지의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6권 제 4호, p.159-182
2002, 김흥순, “A Theoretical Review on Spatial Impact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4권 제 3호, p.61-79
2002, Kim Heung-soon, “Reading Rationality of Decision-Making Called Site Selection: The Case of Sematech”, 지방정부연구, 제 6권 제 3호, p.307-327
2002, 김흥순, 최창규, “관계망으로서의 가상도시 구축에 관한 시론적 고찰”, 도시행정학보, 제 15권 제 2호, p.25-45
2001, 김흥순, “A Case of Negotiated Planning: Urban Growth Management of Austin, Texas in the mid-1980s”, 도시행정학보, 제 14권 제 1호, p.207-227
2001, 김흥순, “상향식 지역개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중국 人民公社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 5권 제 1호, p.145-168
2001, 김흥순, “계획의 위기와 진보적 계획정치의 모색”,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3권 제 1호, p.1-23
2000, 김흥순, “근대화 프로젝트로서의 새마을운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2권 제 2호, p.21-37
2000, 김흥순, “입지선정이라는 이름의 과학읽기”, 공간과 사회, 제 13권, p.270-297
2000, 김흥순, “不定形으로서의 기업입지의 실제”, 도시행정학보, 제 13권 제 1호, p.197-218
1999, 김흥순 “인천광역시 재래시장의 물리적, 운영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 12권, p.31-58
1999, 김흥순, “기업의 입지결정에 있어서 기업문화의 역할에 관한연구”, 국토계획, 제 13권 제 2호, p.207-221
1998, 김흥순, 여홍구, “Major Issues in Promoting Knowledge-Based Regional Development”, 국토계획, 제 33권 제 5호, p.281-298

 

square-fill 연구보고서 square-fill

2015.06~2016.02, 비엔날레상징 국제타운 조성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한국개발연구원
2014.05~2015.08, 대학생활 만족도 실태분석과 개선에 관한 연구Ⅱ, 한양대학교 학생처
2014.05~2014.09, 토지이용규제를 고려한 서울시 자치구간 균형발전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 의회
2014.04~2014.10,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 실태분석과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학생처
2013.10~2014.06, 광명시흥지구의 합리적 제척.관리 및 환지방식 적용을 위한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2008.10,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방안 연구, 대한주택공사
2007.12~2008.04, 방재의 경제성 분석 및 국가경제 파급효과 연구, 행정자치부
2007.09~2007.12, 경기남부지역의 난개발과 개발 제어시스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7.09~2007.12,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발전종합계획 수립방향 연구, 행정자치부
2006.03~2006.12, 살고 싶은 신도시 모델 설정, 한국토지공사 

김홍배 교수

김홍배 교수

교수 (전임교원)
 

 square-fill 교수소개 square-fill

 김홍배 교수는 1993년부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취득하고,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연구분야는 지역계획 및 정책, 지역경제모형 개발 및 지역경제 분석, 경제성분석 등이며 지속적이고 활발한 학술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활발한 연구의 결과로 국토계획, 지역연구 등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약 70여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그리고 2005년, 2007년, 2009년 한양대학교 강의우수교수로, 2006년, 2008년에는 한양대학교 Best Teacher로 선정되었으며, 2013년에는 ‘한양대학교 저명강의교수(HYU Distinguished Teaching Professor)’로 선정되었다. 현재는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행재정 담당 부회장과 한양대학교 학생처장 등 교내외적으로 다양한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square-fill 학력 square-fill

1978-1982   한양대학교 공학사
1985-1987   한양대학교 공학석사(전공: 도시개발)
1988-1992   The Ohio State University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

 

 

square-fill 주요활동 square-fill

1993-현재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정교수
2019-현재    한국도시계획가 협회장
2014-현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학술부회장
2013-2015   한양대학교 학생처장
2012-2014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행재정 담당 부회장
2012-2013   한양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장 
2011-2013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교무부학장(교무위원)
2010-2012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지자체 정책자문 및 국토도시포럼 위원장
2008-2010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학회지 편집위원회 위원장
2006-2008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지 편집 위원회 위원장
2004-2008   Adjunct Professor in Univ. of North Carolina at Charlotte
2004-2006   한양대학교 교무실장  
1989-1992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도시 및 지역계획과 Teaching Associate
1984-1987   (주) 대우 개발사업본부 기획과

 

 

square-fill 기타경력 square-fill

2013 한양대학교 저명강의교수 (HYU Distinguished Teaching Professor) 선정
2006,2008  한양대학교 Best Teacher 선정
2005,2007,2009  한양대학교 강의 우수 교수 선정
2011-2013   국무총리실 세종시지원위원회위원
2011-2013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
2012-현재   국토교통부 PF사업 조정위원회위원
2008-현재   국토교통부 정책자문위원
2007-현재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평가위원
2006-2012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상임이사
2004-현재   국토해양부 신도시 자문위원
2004-현재   파주 운정신도시 계획위원(MP)
2004-현재   한양대학교 부설 국토,도시개발정책연구소 소장
1996-현재   지역학회지 편집위원
1994-현재   대한경제학회 회원
1993-현재   한국지역학회 이사

구자훈 교수

구자훈 교수

교수 (전임교원)
 

 square-fill 교수소개 square-fill

현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의 교수로 재직 중인 구자훈 교수는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도시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세계의 도시디자인, 알기쉬운 도시이야기, 미래의 도시, 도시설계론 등 다수가 있으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주거학회 등 학술지에 40여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고, 국내외 각종 강연회, 세미나, 심포지엄에서 다수 강연한 바 있다. 또한, 국가 또는 공공기관에서 발주한 학술용역을 30여건을 수행한 바 있고 현재 진행 중에 있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서 우수연구원으로 선정된 바 있고 한양대학교 Best Teacher로 선정된 바 있다. 한국도시설계학회 주관 학술대회에서 2회 우수논문으로 수상한 바 있다. 현재 도시, 건축, 주거 등 각종 관련 학회에서 활동하고 있고, 특히 학술위원장 및 논문편집위원 등 학술부문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또한, 국가, 지자체 및 다양한 연구기관에서 자문위원, 심사위원, MP로 임명되어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다.

square-fill 학력 square-fill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학박사(도시공학전공)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학석사(도시공학전공)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학사(건축학과)


square-fill 연구관심분야 square-fill

도시재생, 도시설계(도시디자인), 도시계획, 복합개발, 행태분석 등


square-fill 경력 square-fill

2003 - 현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교수
1997 - 2003, 한동대학교 건설도시환경공학부 부교수
1993 - 199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책임연구원(도시계획부)
1991 - 1992, 한국부동산신탁주식회사 연구위원
1991 - 1992, 미래개발컨설팅그룹, 남광엔지니어링 이사
1984 - 1989, 서울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square-fill 기타활동 square-fill

2019.03 _ 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 위례 복정지구, 판교 금토지구 자문위원회 위원장
2018.08. - 현재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위원, 민간임대주택단지 통합심의 심의위원
2018.01. - 현재 기획재정부 국가 중장기전략 위원회 위원
2017.11. - 현재 국토교통부 도시개발위원회 심의위원,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단지 통합심의위원회 위원장
2017. 10 - 현재 서울시 도시재생위원회 심의위원
2015.12. - 현재 국무총리실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위원
2015.02. - 현재 서울시 창동상계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 총괄MP, 서울시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 영동대로 통합역세권 개발 도시부문MP
2014.04. - 현재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관문심사 위원, 도시재생뉴딜 심사위원
2014.06. - 현재 서울시 희망서울정책 자문단(시장직속) 자문위원
2012.08. - 현재 서울특별시 도시계획 정책자문단(부시장 직속)  위원
2012.05. - 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 아산신도시 총괄계획가(Master Planner)
2016.02. - 2018.01 대통력직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2015. 8 - 2018. 6 서울역 미래비젼 및 정비구상, 노량진 역세권 정비계획, 용산역세권 정비구상 총괄 MP
2014.10. - 2016.02. 제주도 미래비전 수립위원 (도시부문 MP)
2013.03. - 2014.02. 서울시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 총괄계획가
2012.04. - 2016.04.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회, 도시정비위원회,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위원
2012.11. - 2014.02. 서울특별시 2030 서울플랜 수립 추진위원회 위원


square-fill 주요저서 square-fill

속 가능한 교통계획 및 설계(공저), 2015, 한울아카데미
도시사랑, 도시디자인(공저), 서울디자인재단
세계의 도시디자인(공저), 보성각
알기 쉬운 도시이야기(공저), 도서출판 한울
도시와 인간 (공저), 나남출판사
미래의 도시 (공역), 한울아카데미
서양 도시계획사(공저), 보성각
세계화의 현상과 대응(공저), 일지사
토지이용계획론(공저), 보성각
도시설계론(공저), 보성각


square-fill 수상경력 square-fill

한국도시설계학회, 최우수논문상, 2010
한국도시설계학회, 우수논문상, 2008
한양대학교, BEST TEACHER 상, 2005, 2006, 200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우수연구원 선정, 2003


square-fill 학회활동 square-fill

한국도시설계학회 정회원, (前) 학술위원장
한국지리정보학회 정회원
한국GIS학회 정회원, 논문편집위원 역임
대한건축학회 정회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상임이사, (前) 학술위원회 위원장


square-fill 주요논문 square-fill

“수도권 주상복합아파트 지역유형별 가격결정요인 연구” [주택연구], 한국주택학회지, 73-93, 2009. 02. - 송호창.구자훈.김태호
“서울특별시 골목길 담장허물기에 따른 주민의 사회적 활동 및 참여자 특성 분석” [도시설계], 한국도시설계학회, 10권 3호, 181-194, 2009. 09. - 구자훈.김슬옹
“야간경관계획의 평가항목 선정 및 가중치 분석” [도시설계], 한국도시설계학회, 10권 3호, 107-122, 2009. 09. - 최민아.노정민.구자훈
“부동산개발사업의 투자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국토연구원 62권, 85-105, 2009. 09. - 정광섭.김상원.구자훈.원제무
"장소마케팅 개념을 이용한 중소도시 구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 아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도시공간연구], 국토.도시개발정책연구소, 3권 1호, 49-60, 2008. 02. - 노정민.구자훈
"다가구 매입임대주택에 대한 주변지역 주민인식 및 전세가격 영향 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3권 1호, 111-122, 2008. 02. - 이주림.구자훈
"도심 주거재생을 위한 저층고밀 단독주거지 유형분석과 적정규모 산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4권 5호, 249-258, 2008. 05. - 황지욱.박창선.구자훈 외 2인
"공동주택 생활가로의 활동특성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도시설계], 한국도시설계학회, 9권 2호, 23-40, 2008. 06. - 김성일.박진아.구자훈
"보행거리에 따른 역세권 내부 지가분포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서울도시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학회지, 9권 3호, 93-105, 2008. 09. - 김태호.구자훈.박진아
"서울시 노후단독주거지 유형별 정비방안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도시공간연구]

조미정 교수

조미정 교수

교수 (전임교원)
 

 diamond-fill 교수소개 diamond-fill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조미정 교수는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에서 도시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도시계획, 도시개발,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주택정책, 도시재생 등으로 논문은 SUSTAINABILITY, 국토계획 등 국내외 학술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국주택금융공사 우수상, 한국토지주택공사 은상, WISET 젊은여성연구자상,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에서 다수의 우수논문상 등을 수상하였다.
현재는 문화체육관광부 평가위원 및 컨설팅위원, 서울시 성동구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위원, 광명시․하남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위원 등 다양한 위원회 활동을 하고 있으며, 성동구 사근동 도시재생사업 총괄 코디네이터, 한국도시재생학회 부회장 등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diamond-fill 학력 diamond-fill
2010. 한양대학교 부동산학석사(부동산법제 전공)
2015. 한양대학교 도시공학박사(도시개발경영 전공)
 
diamond-fill 경력 diamond-fill
[2015. 9 ~ 2023. 2]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부동산융합대학원 겸임교수
[2023. 1 ~ 현재] 하남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위원
[2022. 3 ~ 현재] 하남시 적극행정위원회 위원
[2021. 2 ~ 현재] 서울시 성동구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위원
[2021. 2 ~ 현재] 의정부시 행정혁신위원회 위원
[2021. 1 ~ 현재] 서울시 성동구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21. 1 ~ 현재] 하남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20. 2 ~ 현재] 광명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위원
[2020. 2 ~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지역개발관광사업 평가위원 및 컨설팅위원
[2019. 9 ~ 현재] 서울시 성동구 사근동 도시재생사업 총괄코디네이터
[2019. 8 ~ 현재] 의왕시 도시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19. 5 ~ 현재] 서울시 성동구 스마트포용도시위원회 위원
[2018. 9 ~ 현재] 광명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17. 7 ~ 현재] 서울시 강서구 환경보전자문위원회 위원
[2019.10 ~ 2021.10] 의왕시 정보화위원회 위원
[2018. 5 ~ 2020. 4] 의정부시 정비구역해제 검토 실무위원회 위원
[2017. 8 ~ 2019. 2] 서울시 성동구 마장동 도시재생사업 도시계획분야 전문코디네이터
[2017. 4 ~ 2019. 4] 서울시 구로구 도시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17. 4 ~ 2019. 4] 서울시 구로구 분양가심사위원회 위원
[2016.12 ~ 2022.12] 서울시 강서구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16. 1 ~ 2021. 2] 의정부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16. 8 ~ 2021. 2] 의정부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위원
[2016. 9 ~ 2019. 2] 단국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부 외래강사
[2015. 7 ~ 2023. 1] ㈜삼호기술공사 이사
 
 
diamond-fill 강의과목 diamond-fill
주거지개발 및 주택정책 / 도시개발 및 정책 / 도시 및 지역문제 / 부동산 공법 /
부동산사법Ⅰ/부동산사법Ⅱ / 도시계획세미나 / 도시재생세미나 / 논문작성의 이해
 
diamond-fill 수상경력 diamond-fill
2015. 8 공로상, 한양대학교 학위수여식
2014. 4 WISET․KPA 젊은여성연구자상,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2013. 4 우수논문상,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2012.12 은상, 한국토지주택공사 대학(원)생 논문공모전
2012.10 우수논문상,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2012.10 우수상, 한국주택금융공사 대학(원)생 논문공모전
2011.10 우수논문상,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2010. 8 우수논문상, 한양대학교 학위수여식

diamond-fill 학회활동 diamond-fill
한국도시재생학회 부회장
한국도시부동산학회 운영위원장
한국도시계획가협회 이사
 
diamond-fill 국제학술논문 diamond-fill
•Jae-Jong Kim, Mi-Jeong Cho, Myeong-Hun Lee(2022). An Analysis of the Price Determinants of Multiplex Houses through Spatial Regression Analysis, 「sustainability」, 14(12),7116. (SSCI) (Corresponding author)
•Saebae Ryu, Saehim Kim, Mi-Jeong Cho, Myeong-Hun Lee(2022), Defining the “Hip Factor”: Analysis of Location Properties, SNS Usage, and Other “Hip-Place”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Visitor Satisfaction, 「sustainability」,14(10),6026.
•Jae-Young Jeong, Mi-Jeong Cho and Myeong-Hun Lee(2022),An Analysis of the Effect of Non-Parking Facilities in Parking-only Buildings on the Traffic Inducement Rate. 「sustainability」, 14(7),4250.(SSCI) (Corresponding author)
•Kiju Nam, Mi-Jeong Cho and Myeong-Hun Lee(2020),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Local Support Factors of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Resorts. 「sustainability」, 12(2),633.(SSCI) (Corresponding author)
 
diamond-fill 국내학술논문 diamond-fill
•이정희, 조미정, 이명훈(2022),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 하수처리시설 유휴부지 활용에 관한 사례연구, 「도시정책연구」, 13(1)
•Lee, Jung-Hee·Cho, Mi-Jeong· Lee, Myeong-Hun(2021),Analysis on Priority and Importance of Regeneration of Idle Land: Case Study on an Obsolete Sewage Treatment Plant.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56(7)
•양승규‧조미정(2021), 도시쇠퇴와 전력사용량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국토계획」, 56(5)
•마창욱‧조미정(2020)신규 지하철 개통이 주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지하철 서해선 노선을 사례로, 「도시재생」,6(2)
•이재원‧조미정(2020), 경인선 역세권 토지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재생」,6(3)
•남기주‧조미정(2019). AHP를 활용한 복합리조트 방문요소 중요도 분석: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1(5)
•장은제‧조미정(2019). 수익형 숙박시설의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요인연구. 「국토계획」, 54(3)
•오홍진‧조미정(2019), 서울시 고급아파트 주거선택요인 중요도 분석:나인원 한남아파트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2(2)
•김창한‧조미정(2019), 지구단위계획요소의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회귀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2(2)
•심윤주‧조미정(2019), 재정비촉진지구 구역별 조합원 인식에 관한 연구: 한남 재정비촉진지구를 중심으로, 「도시재생」,5(2)
•김재종‧조미정(2019), 공공택지 내 점포주택 거주자 만족도 및 중요도 분석: 위례신도시 및 청라국제도시를 중심으로, 「도시재생」,5(2)
•김새힘‧조미정(2019), 인구구조 변화 특성을 반영한 인구감소 지역의 유형화와 도시축소 실태
분석 연구, 「도시재생」,5(1)
•조미정(2018), 입주의향을 고려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도시재생」,4(2)
•이일희‧조미정(2018), 공공청사의 중복 ‧ 입체적 결정방안 연구: 부대 ‧ 편익시설을 중심으로, 「도시재생」,4(2)
•정기수‧조미정(2018),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의 갈등 및 중단사유: 법적인 갈등을 중심으로, 「도시재생」,4(2)
•김종근‧조미정(2018), 도시계획시설의 공간적 범위 결정제도 개선방향 연구: 여객자동차터미널을 중심으로, 「도시재생」,4(1)
•조미정‧임영진‧이명훈(2015), 강남과 강북지역의 공동주택단지 생활환경 비교 평가 연구, 「국토계획」, 51(2)
•조미정‧이명훈(2015), 근린생활환경이노후공동주택가격에미치는영향연구, 「국토계획」, 50(4)
•조미정‧강희용·이명훈(2014),몬테카를로시뮬레이션을이용한사업방식선택에따른주거지변화연구, 「도시행정학보」, 27(4)
•조미정‧이명훈(2014), 재건축과리모델링사업방식결정에따른주거지변화에관한연구, 「국토계획」, 49(5)
•이명훈‧장민영‧송혜승‧조미정‧최민성(2013), 뉴욕시의건강도시계획과정및추진체제, 「국토계획」, 49(4)
•조미정‧안재홍·이명훈(2013), 준공업지역의주거생활자와산업종사자의사결정요인에따른정비사업방향에관한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5)
•조미정‧김광석‧이명훈(2013), 주택경기순환모형에관한연구, 「국토계획」, 48(6)
•조미정‧김광석‧박환용·이명훈(2013),아파트분양성평가지표개발에관한연구, 「국토계획」,
48(3)
•이명훈‧김수연‧조미정‧황지욱(2013), 한일도시재생특별법 비교를 통한 개선방향연구, 「국토계획」, 48(6)
•조미정‧김광석‧박환용(2012), 아파트시장의 지역별 단기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 수도권과 5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7(3)
 
diamond-fill 프로젝트 수행실적 diamond-fill
•대상공원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의 사업계획 변경 타당성 검증(2021~2022), 창원시
•사화공원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의 사업계획 변경 타당성 검증(2021~2022), 창원시
•송정동 중랑물재생센터 주변부지 활용방안 연구용역(2021), 성동구
•군포 노후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 개발구상 및 타당성조사 용역(2020~2023), 한국토지주택공사
•도시재생 뉴딜사업 법제도적 체계 개선방안 연구(2020), 감사원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도시재생 동향 조사(20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삼척시 도계 역세권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수립용역(2019~2020). 삼척시
•한국형 도시재생회사 제도 도입방안 연구(2019~2020), 국토교통부․주택도시보증공사
•국유지 토지개발기준 및 제도개선방안 수립연구(2018~2019), 한국 토지주택공사
•미래형 도시개발방안 및 교통계획과 연계한 입지분석 연구용역(2017~2018), 한국 토지주택공사
•경산00 기업형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사업타당성조사 용역(2017~2018), 한국 토지주택공사
•국유재산 재산권 보호 강화를 위한 도시계획시설 제도개선 연구(2016), 한국자산관리공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차별화전략 수립 용역(2016), 한국 토지주택공사
•도시관리 제도 도입 타당성 연구(2016~2017),한국 토지주택공사
•고양공공지구 기본구상 및 사업화방안 연구용역(2015~2016), 경기도시공사
•도시내 저개발․유휴부지를 활용한 행복주택사업모델 및 경관개선방안 연구(2015~2016), 한국토지주택공사
•광명시흥지구 특별관리지역 관리계획 연구용역(2015~2016), 한국 토지주택공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개발사업 사업타당성 조사용역(2014~2015),한국 토지주택공사
•집약적 도시공간구조 형성을 위한 혼합형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2014~2015). 한국연구재단
•창조적 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기반구축 강화(2014~2015), 한국토지주택공사
•광명시흥지구의 합리적 제척·관리 및 환지방식 적용을 위한 연구(2013~2014), 한국 토지주택공사
•서울양원 공공주택사업지구 사업타당성 조사용역(2014), 한국 토지주택공사
•공공주택지구 해제지역에 대한 적정관리방안 연구(2014), 국토교통부
•수원고등지구 사업활성화 방안 연구용역(2013~2014), 한국 토지주택공사
•리모델링 중심의 도시정비 선진화 정책 수립(2013~2014), 고양시
•노후 공동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리모델링 관려넺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2013), 서울특별시의회

박정은

박정은

교수 (전임교원)
 

박정은 교수는 서울대학교 학사 졸업 후 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석사 및 Columbia University에서 박사를 취득하였다. 
연구분야는 Cost Overruns, Schedule Delays, and Benefit Shortfalls of Megaprojects, Planning Fallacy  in Infrastructure Investment Decision Making, Reference Class Forecasting, Low Impact Development 등이다.  
박정은 교수는 Columbia University Fellowship과 Doctoral Dissertation Research Improvement Grant를 받아 박사를 마쳤다.  
박사 학위 논문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Daniel Kahneman의 지도를 받아 완성하였다. 
박정은 교수는 Columbia University의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Preservation에서  교육 활동을 하였으며, Columbia University의 Community and Capital Action Research Lab에서 연구 활동을 하였다. 
비용 예측 모델에 대하여 UN의 자문 기구인 Earth Institute에서 교수 및 연구원을 상대로 강의를 하였으며, 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Decision, Risk, and Management Sciences 분야에 99개의 research team과 함께 초대를 받았다. 
박정은 교수가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의 지원을 받아 작성한 Infrastructure Investment에 관한 보고서는 미국 연방 정부에서 업무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서울시청의 도시계획 정책활용성 개선을 위한 생태면적률 기준 정비에 참여하였다.

최민성 교수

최민성 교수

겸임교수
 

A paragraph is a self-contained unit of a discourse in writing dealing with a particular point or idea. Paragraphs are usually an expected part of formal writing, used to organize longer prose.

안동욱 교수

안동욱 교수

겸임교수
 

A paragraph is a self-contained unit of a discourse in writing dealing with a particular point or idea. Paragraphs are usually an expected part of formal writing, used to organize longer pr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