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uare-fill 교수소개 square-fill
김흥순 교수는 2006년 3월부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취득하고, 미국 Texas A&M University에서 도시 및 지역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과 창원대학교 행정학과에서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도시이론과 사회경제이론에 근간을 둔 도시정책, 도시관리, 도시재생, 마을만들기 분야로 통계와 GIS를 활용한 분석을 통해 도시현상을 실증적으로 진단하고 현실 적합한 정책대안을 제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근대 도시계획 역사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도시계획과 근대성의 함의 및 정체성을 찾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square-fill 저서 square-fill
- 2017, 역사로 읽는 도시이야기, 보성각
- 2015, 도시재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편, 보성각(공저)
- 2012, 도서관이 권하고 전문가가 평하다 : 국회도서관이 주목한 100권의 책, 국회도서관(공저)
- 2009, 도시, 인간과 공간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공저)
- 2008, 도시계획론 5정판, 보성각(공저)
- 2004, 한국 부동산 문제의 이해, 인간사랑2015, 도시재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편, 보성각(공저)
square-fill 연구논문 square-fill
2016, Jaehyeong Nam, Heungsoon Kim, "Studies on Usage Patterns and Use Range of Neighborhood Parks: Focused on ′Regional Area Parks' in Seoul, Korea",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Vol. 15, No. 3
2016, 김흥순, 최성웅,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의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5, 김나리, 김흥순, "문화유산 활용 사업에 따른 방문객 만족도 및 경제성 분석: 인천 중구 테마박물관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0권 7호
2015, Eunha Shin, Heungsoon Kim, “Analysing Green Roof Effects in an Urban Environment: A Case of Bangbae-dong, Seoul”, Journal of Asian Journal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4권 2호
2015, 김흥순, “분당 신도시 개발사업에 대한 사후평가: 효과성, 능률성, 형평성, 대응성을 기준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권 1호
2014, 김흥순, 최재연, 신은하, “옥상녹화사업의 종류에 따른 경제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0권 10호, p.159-167
2014, 김흥순, “갈등관리의 인문학적 성찰: 장자(莊子)의 재해석과 밀양 송전탑 사례에의 적용”,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권 3호, p.1-30
2014, 김태호, 김흥순, “수도권 시군구의 자족성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권 2호
2014, Jaeheyong Nam, Heungsoon Kim,"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City Parks: A Focus on Neighborhood Parks in Seoul, Korea",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Vol.13(2) p.515-522
2014, 김흥순, 남재형, “서울시 보육시설의 공급적정성에 관한 연구: 이용권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0권 3호, p.203-213
2013, 최재연, 김흥순,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한 장소이미지 및 만족도의 내,외국인간 차이에 관한 연구: 이태원 관광특구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8권 7호, p.37-54
2013, Heungsoon Kim, Jaeheyong Nam, “The size of the station influence area in Seoul, Korea : Based on the survey of users of 7 st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Vol.18
2013, 이주한, 김흥순, “서울의 도시이미지 평가를 통한 도시만족도 분석”, 국토계획, 제 48권 제6호
2013, 이윤구, 김흥순, "청계천에 대한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장소이미지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권 3호, p.67-90
2013, 권윤정, 김흥순, “주택침수 지역의 공간적 분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424개 행정동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 48권 제 5호
2013, 김흥순, 원준혁, “주민참여 및 인식도에 있어서 인구통계학적 요인의 특성에 대한 고찰”, 서울도시연구, 제 14권 제 1호, p.93-111
2013, 이민규, 김흥순, “기업형 슈퍼마켓의 입지특성과 소비자 이용행태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5권 제 1호, p.251-274
2013, 최태규, 김흥순, “도시의 물리적 속성이 개인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 48권 제 1호, p.191-203
2012, 원준혁, 김흥순,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사업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제 13권 제 6호, p.55-68
2012, 김흥순, “AHP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거주자들의 주거결정요인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 28권 제 1호, p.227-235
2011, 마세인, 김흥순,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노인복지시설의 접근성 연구: 인천시 내륙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 70권, p.61-75
2011, 이진택, 정다운, 김흥순 “상업적 토지이용의 출·퇴근방향별 차이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 46권 제 1호, p.91-104
2011, 오명택, 정다운, 김흥순, “6대 광역시 부도심 지역의 성장추이 분석과 계획대응방안 연구”, 국토연구, 제 68권, p.207-229
2011, 최준섭, 정다운, 김흥순 “통제집단을 활용한 고속도로 개통의 지역개발 효과 분석”, 국토연구, 제 68권, p.25-41
2011, 김흥순, “인구지표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도시화 성격: 일제 강점기와 그 전후 시기의 비교”,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3권 제 2호, p.19-45
2011, 김흥순,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의 도시화 추이”, 국토계획, 제 46권 제 4호, p.69-92
2011, 김흥순, “일제강점 후기 우리나라 도시화의 동인”,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3권 제 5호, p.1-28
2010, 정다운, 김흥순, “수도권 1기 신도시의 자족성 및 중심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 13권 제 2호, p.103-116
2010, 김흥순, “19세기말 프랑스 인상주의 회화 속에 표현된 파리의 근대적 도시경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6권 제 7호, p.203-214
2010, 김흥순, “왕십리 역세권 침체원인의 규명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6권 제 6호, p.255-262
2010, 김흥순, “신사동 가로수 길과 삼청동 길의 활성화 요인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 26권 제 5호, p.325-334
2010, 김흥순, 정미숙, 정다운,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이주 및 보상대책에 관한 연구: 세운 재정비 촉진지구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제 45권 제 2호, p.21-34
2010, 김흥순, 정다운, “서울시 의료시설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 23권 제 1호, p.27-45
2010, 임동빈, 장옥련, 김흥순, “비도시지역 내 공동주택단지의 밀도 및 옥외공간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제 64권, p.3-20
2009, 장옥련, 임동빈, 김흥순, “경제권역별 산업특성 파악을 통한 산업용지 수요전망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1권 제 4호, p.71-82
2009, 박대근, 정다운, 김흥순, “계획요소의 분석을 통한 도심재생사업의 평가”, 도시행정학보, 제 22권 제 3호, p.295-316
2009, 김흥순, 구경민, 정다운, “서울시 뉴타운 개발이 주변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제 44권 제 4호, p.79-93
2009, 김흥순, “조선 개국 초 한양 천도(遷都) 논쟁”, 국토계획, 제 44권 제 4호, p.21-36
2009, 정다운, 김흥순, “용산공원 조성방향에 대한 서울 시민의 의식조사”, 서울도시연구, 제 10권 제 2호, p.113-126
2009, 김흥순, “조선 후기 도시계획에서 나타난 근대성: 조선왕조실록 기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 22권 제 1호, p.41-67
2009, 김흥순, “조선 전기 도시 토지이용 정책의 가치”, 국토계획, 제 44권 제 2호, p.39-56
2008, 김흥순,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와 캄파넬라의 태양의 도시에서 나타난 공간구조 특성과 도시계획적 함의”, 국토계획, 제 43권 제 6호, p.21-38
2008, 김흥순, “토건국가 두바이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 21권 제 2호, p.291-322
2008, 김흥순, 정다운, “운전자 특성에 따른 교통위반행태 분석”, 서울도시연구, 제 9권 제 3호, p.119-131
2008, 김흥순, “환경문제에 대한 시장주의적 접근의 한계: 비판 사회학적 고찰”, 공간과 사회, 제 29호, p.4-31
2008, 김흥순, “조선후기 산림정책 및 산림황폐화: 시장주의적 고찰과 그에 대한 비판”,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0권 제 2호, p.169-192
2008, 김흥순, 유지곤, “생활체육시설의 입지관련 적정성에 관한 연구: 서울 소재 시설의 이용자 행태와 인식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 21권 제 1호, p.157-183
2008, 김흥순, “새로운 도시개발·관리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대안의 모색”, 도시설계, 제 9권 제 1호, p.77-100
2007, 김흥순, “뉴어바니즘의 국내 적용 가능성 분석; 수도권 주민에 대한 설문조사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 55권, p.155-178
2007, 김흥순, “사회주의 도시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소련 건국 초기 도시주의 대 비도시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 42권 제 6호, p.25-48
2007, 김흥순, “일제강점기 도시계획에서 나타난 근대성: 조선시가지계획령(朝鮮市街地計劃令)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 8권 제 4호, p.155-173
2007, 김흥순, 이창무, 김미경, “역세권개발과 수도권 공간구조 재편”, 국토계획, 제 42권 제 6호, p.67-88
2007, Kim, H., “Building an eco-industrial park as a public project in South Korea”, Sustainable Development, 제 15권 제 6호, p.357-369
2007, 김흥순, “비성별적 도시의 모색 :도시환경요소가 주는 잠재적 범죄위협에 대한 여성인식의 고찰”, 국토계획, 제 42권 제 1호, p.35-50
2006, 김흥순, “뉴어바니즘은 신보수주의 프로젝트인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8권 제 4호, p.97-118
2006, 김흥순, 유지곤, “서울시 생활체육시설의 입지 요인 및 적정성 분석”, 서울도시연구, 제 7권 제 4호, p.37-52
2006, 김흥순, “뉴어바니즘의 실제 :미국 켄틀랜즈의 사례”, 국토연구, 제 51권, p.109-130
2006, 김흥순, 이명훈, “미국 도시미화 운동의 현대적 이해 :그 퇴장과 유산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 7권 제 3호, p.87-106
2006, 김흥순,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과 대안적 계획이론의 모색”, 국토연구, 제 50권, p.19-37
2006, 김흥순, “뉴 어바니즘, 근대적 접근인가, 탈근대적 접근인가?”, 도시행정학보, 제 19권 제 2호, p.49-74
2006, 김흥순,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본 뉴어바니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 9권 제 2호, p.125-138
2006, 최창규, 김흥순, “공간과 관계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 사이버 공간”, 국토계획, 제 41권 제 3호, p.163-179
2006, 김흥순, “시장대립적 도시계획의 정당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시장친화적 시각에서의 문제제기”,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8권 제 1호, p.161-190
2005, 김흥순, “뉴 라이트 계획은 가능한가?: 영국과 미국에서의 경험과 그 시사점”,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7권 제 4호, p.153-178
2005, 김흥순, “한국에서 지속가능성 이념의 실현 양태”, 담론 201, 제 8권 제 1호, p.60-91
2005, 김흥순, “지방산업단지의 생태산업단지화에 관한 주민인식: 진주 상평산업단지 사례”, 도시행정학보, 제 18권 제 1호, p.51-76
2005, 김흥순, “산업단지의 환경문제에 대한 주민의식조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7권 제 1호, p.117-141
2004, 김흥진, 김흥순, “노인보행자 교통사망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 17권 제 3호, p.139-163
2004, 김흥순, 강정운, “생태산업단지의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6권 제 4호, p.159-182
2002, 김흥순, “A Theoretical Review on Spatial Impact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4권 제 3호, p.61-79
2002, Kim Heung-soon, “Reading Rationality of Decision-Making Called Site Selection: The Case of Sematech”, 지방정부연구, 제 6권 제 3호, p.307-327
2002, 김흥순, 최창규, “관계망으로서의 가상도시 구축에 관한 시론적 고찰”, 도시행정학보, 제 15권 제 2호, p.25-45
2001, 김흥순, “A Case of Negotiated Planning: Urban Growth Management of Austin, Texas in the mid-1980s”, 도시행정학보, 제 14권 제 1호, p.207-227
2001, 김흥순, “상향식 지역개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중국 人民公社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 5권 제 1호, p.145-168
2001, 김흥순, “계획의 위기와 진보적 계획정치의 모색”,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3권 제 1호, p.1-23
2000, 김흥순, “근대화 프로젝트로서의 새마을운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2권 제 2호, p.21-37
2000, 김흥순, “입지선정이라는 이름의 과학읽기”, 공간과 사회, 제 13권, p.270-297
2000, 김흥순, “不定形으로서의 기업입지의 실제”, 도시행정학보, 제 13권 제 1호, p.197-218
1999, 김흥순 “인천광역시 재래시장의 물리적, 운영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 12권, p.31-58
1999, 김흥순, “기업의 입지결정에 있어서 기업문화의 역할에 관한연구”, 국토계획, 제 13권 제 2호, p.207-221
1998, 김흥순, 여홍구, “Major Issues in Promoting Knowledge-Based Regional Development”, 국토계획, 제 33권 제 5호, p.281-298
square-fill 연구보고서 square-fill
2015.06~2016.02, 비엔날레상징 국제타운 조성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한국개발연구원
2014.05~2015.08, 대학생활 만족도 실태분석과 개선에 관한 연구Ⅱ, 한양대학교 학생처
2014.05~2014.09, 토지이용규제를 고려한 서울시 자치구간 균형발전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 의회
2014.04~2014.10,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 실태분석과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학생처
2013.10~2014.06, 광명시흥지구의 합리적 제척.관리 및 환지방식 적용을 위한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2008.10,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방안 연구, 대한주택공사
2007.12~2008.04, 방재의 경제성 분석 및 국가경제 파급효과 연구, 행정자치부
2007.09~2007.12, 경기남부지역의 난개발과 개발 제어시스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7.09~2007.12,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발전종합계획 수립방향 연구, 행정자치부
2006.03~2006.12, 살고 싶은 신도시 모델 설정, 한국토지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