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 작성 안내

Ⅰ. 논문의 구성
1. 논문은 영문초록을 포함하여 총30매(인쇄 면수)를 초과할 수 없다.
 
2. 투고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Table Caption
  내용
제1쪽 논문제목, 제출일, 교신저자의 연락처(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
제2쪽 논문제목, 저자명, 국문초록(800자 내외), 핵심어
저자에 대한 정보는 저자 이름 옆에 각주(*)로 표기(주저자, 교신저자에 대한 정보, 저자의 소속 및 직위, 이메일 주소)
제3쪽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및 자료, 연구 결과,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등
끝 쪽 영문제목, 영문 저자명(이름 성 순), Abstract(200단어 내외), Keywords

3. 국문 및 영문초록에는 연구목적, 연구방법 및 분석자료, 결과, 결론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단락 구분 없이 연속적으로 기술한다.
 
Ⅱ. 편집 양식
1. 논문은 한글 2010이상 및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으로 다음의 양식에 맞추어 작성한다.

Table Caption
  내용
편집용지 A4용지(폭 174mm, 길이 246mm)
여백 : 위쪽 18mm, 머리말 15mm, 꼬리말 15mm, 아래쪽 15mm, 좌우 23mm
논문제목
(국문, 영문)
글자모양 : 바탕체 / 글자크기 : 18(대제목), 13(소제목) / 줄간격 : 150%
저자명
(국문, 영문)
글자모양 : 바탕체 / 글자크기 : 10 / 줄간격 : 160%
본문 글자모양 : 바탕체 / 글자크기 : 10.5 / 줄간격 : 170%
각주 글자모양 : 바탕체 / 글자크기 : 8 / 줄간격 : 130%

2. 게재가 확정된 논문에 한하여 편집진에서 수정한다.
 
3. 본문의 내용 구성은 다음의 순서로 구분한다.
ⅠⅡⅢ, 1 2 3, 가 나 다, 1) 2) 3), 가) 나) 다), (1) (2) (3)
 
4. 본문 내 인용의 표시는 다음의 규정을 따른다.
가. 저자의 이름이 본문에 언급된 경우에는 출판년도와 페이지를 괄호 안에 제시(예시 1)하고, 본문에 언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름, 출판년도, 페이지를 괄호 안에 제시한다(예시 2)
(예시 1) 강은택(2014: 37) (예시 2) (강은택, 2014: 37)
 
나. 저자의 이름이 외래어인 경우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Todaro(1980: 369) (Todaro, 1980: 369)
 
다. 2인 공동저술인 경우 두 사람의 이름을 모두 제시한다. 국문저자들은 방점(・)으로 구분하고(예시 1), 영문저자들은 and를 이용하여 구분한다(예시 2)
(예시 1) 박추환・김명수(2006: 110), (박추환・김명수, 2006: 110)
(예시 2) Anderson and Kohler(2015: 400), (Anderson and Kohler, 2015: 400)
 
라. 3인 이상의 공동저술인 경우에는 “첫 번째 저자명 외”로 제시한다. 영문 저자인 경우에도 “외”를 사용한다.
예시) 김태헌 외(2006), (김태헌 외, 2006: 18) Zeman 외(2018: 660), (Zeman 외, 2018: 660)
 
마. 2편 이상의 다른 저술을 이용할 때는 국문을 먼저 제시하며, 연도순으로 세미콜론 ‘;’을 사용하여 구분한다.
예시) (김태헌 외, 2006; 민현주・김은지, 2011; Zeman 외, 2018)
 
바. 출판예정인 저술을 인용할 때는 저자명, 연도를 쓴 후 ‘출판예정’이라고 기재해야 하며, 미간행물일 경우에는‘미간행’이라고 기재한다.
 
Ⅲ. 참고문헌 작성
1. 참고문헌은 본문에 인용 또는 언급된 것으로 제시한다.
 
2. 한국어 문헌은 저자 이름의 가나다 순으로 먼저 제시하고 그 다음에 외래어문헌을 알파벳순으로 제시한다.
 
3. 참고문헌은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1) 동일한 저자의 저술이 두 편 이상인 경우, 출판년도가 이른 순으로 제시한다.
2) 출판예정인 경우에는 출판년도 대신 ‘출판예정’을 기재한다.
3) 미간행 저술은 발표 장소와 날짜를 기재한다.
4) 동일한 저자의 동일 연도의 출판 저술을 두 편 이상 인용한 경우 출판년도에 영문자(a, b, c 등)로 구분한다.
4) 저자가 2인 이상일 때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기재한다.
5) 영문으로 된 문헌은 이름(first name)을 약자로 기재한다.
 
※ 저술 유형별 참고문헌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① 논문: 저자명(발행연도), 논문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논문 페이지.

김태헌・박경애・김순옥(1998), 국민연금가입자의 차별사망력 : 성・연령 및 거주지별 사망력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1(1): 80-104.
Kohler, H.-P., F. C. Billari, and J. A. Ortega. (2002), The Emergence of Lowest-Low Fertility in Europe during the 1990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8(4): 641-680.

② 단행본: 저자명(발행연도), 「도서명」, 소재지: 발행처.

최성재・장인협(2010),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Esping-Andersen, G. (1999),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③ 번역서: 번역자 명(역서 발행연도), 「번역서명」, 원저자명(원서발행연도), 원서명, 소재지: 발행처

권성희 역(2015), 「2018 인구절벽이 온다」, Harry S. Dent Jr(2015), The Demographic Cliff, 서울: 청림출판.

④ 편저서: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편저자명, 『도서명』, 소재지: 발행처, 인용 페이지.

최병호(2017), “복지 체제와 연금 체제의 생태적 구조”, NEAR재단 편, 「한국의 경제생태계」, 경기: 북이십일세기, 397-436.
Gonzalez, M. J., T. Jurado, and M. Naldini. (2000). “Introduction: Interpreting the transformation of gender inequalities in Southern Europe,” in M. J. Gonzalez, T. Jurado, and M. Naldini (eds.), Gender Inequalities in Southern Europe: Women, Work and Welfare in the 1990s. London: Frank Cass.

⑤ 학위논문: 저자명(발행연도), “논문제목”, ○○대학교 ○○학위논문.

김다연(2018), “고령 초산모의 임신과 출산 경험”,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⑥ 인터넷 문서: 발행기관(발행연도),“자료명(혹은 표 제목)”, 사이트 주소, 반출년월일.

통계청(2018),“출생통계”, http://www.kosis.kr, 2018년 8월 31일 반출.

Ⅳ. 기타
1. 본 요강에 명시되지 않은 기타 사항은 본 연구소에서 발간된 최근의 《고령사회융합연구》 관례에 따른다.
 
2. 논문제출과 작성요령에 관한 질의는 편집위원장에게 한다.

(04763)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한양대학교 HIT 316호 고령사회연구원
전화: (02) 2220-2795 이메일: hias2008@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