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Ph.D., Georgia State University
직위/보직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연구분야
미디어 문화산업, 문화정책, 문화연구, 글로벌커뮤니케이션, 비판이론, 커뮤니케이션이론, 질적연구방법론
주요경력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호남대학교 교수, Georgia State University 방문교수, The University of Rhode Island Visiting Scholar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편집위원장, <한국소통학보> 편집위원, <한국방송학보> 편집위원, <커뮤니케이션 이론> 편집위원, <여가학연구> 편집위원
한국언론정보학회 정기학술대회 조직위원장, 한국언론정보학회 기획이사, 한국방송학회 총무이사, 기획이사, 연구이사, 협력이사, 한국언론학회 <언론과사회> 총무간사,
서울시교육청 홍보심의위원회 위원, 한국국제협력단 면접위원
경기도 도시재생위원회 자문위원, 국립생물자원관 자문위원, 고흥군 선거관리위원회 선거방송토론 위원,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장, 한양대학교 WRITING CENTER장,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장,
한대신문사 편집인 겸 주간, 한대교육방송국(HUBS) 주간
주요논문/저서
녕의·류웅재 (2025). 중국 민족주의 영화에 나타난 중국 대중의 감정구조: 영화 <장진호>의 서사와 사회적 맥락. 예술과 과학기술, 21권2호.
이유빈·류웅재 (2025).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재현되는 청년세대의 음주문화: 타자 지향적 소비와 가치 소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6권2호.
정현우·류웅재 (2025). 윤석열 정부의 위기관리 속 활용된 ‘자유’ 담론: 대통령 연설문과 주요 일간지 사설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18권1호.
김신영·류웅재 (2025). 왜 미디어는 기독교를 부정적으로 재현하는가?: <할렐루야>(1997), <밀양>(2007), <더 글로리>(2022)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21권1호.
노영은·류웅재 (2024). 초국적 문화산업이 직조하는 한류의 문화정치: K-콘텐츠를 전유하는 글로벌 OTT 플랫폼과 혼종화 전략. 언론과 사회, 32권4호.
정현우·류웅재 (2024). 기업 경영전략 담론으로 전유(專有)된 ESG: 정부와 지자체 정책보고서 및 신문 사설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17권2호.
박수연·류웅재 (2024). 넷플릭스가 재현하는 ‘한국성’과 글로벌 K-콘텐츠의 다층적 함의: 한국판 리메이크 콘텐츠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8권4호.
류웅재·김민승 (2024). 연남동 가는 청년들: 문화산업이 재현하는 도시 공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문논총, 64권.
곽영신·류웅재 (2024). ‘K-컬처’에 드러난 혼종적 근대성: 글로벌 한류의 비동시적 문화정치와 그 정경들. 언론과 사회, 32권2호.
김민승·류웅재 (2024). 미디어가 재현하는 맛집 탐방과 대중의 문화 실천: 윌리엄즈의 감정구조와 하비의 공간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5권2호.
박한진·류웅재 (2024). 신도시 건설 과정에서 이전기관 종사자 갈등 사례에 관한 연구: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와 경북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8권1호.
이상진·류웅재 (2024). 물질문화로서 음반 미디어 중간 판매상에 관한 문화연구: 황학동 동묘시장 미디어 중간 판매상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8권1호.
노영은·류웅재 (2023). ‘문화도시’ 광주가 재현하는 공간의 담론정치: 경합하고 굴절되는 도시 담론. 한국언론학보, 67권6호.
김신영·류웅재 (2023). 윤석열 정부가 활용하는 ‘자유’ 담론의 한계: 대통령 연설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16권2호.
김민승·류웅재 (2023). 포스트모더니티 공간의 다의성과 사회문화적 함의: 스타필드 코엑스(COEX) 별마당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121호.
노영은·류웅재 (2023). 로컬 문화산업에 투영되는 지역의 정치경제학: 역사 도시 수원과 전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4권2호.
노영은·류웅재 (2023). 로컬(local)문화산업과 관리되는 도시공간: 광주와 대전의 도시 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사회과학연구논총, 39권1호.
나진희·류웅재 (2023). 학벌과 출신 지역의 미디어 재현과 청년세대의 감정구조: 지역 청년과 지방대생의 취업 과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16권1호.
김민승·류웅재 (2023). 스펙터클 도시공간이 지배하는 현대 세계의 일상성(日常性): 기업가적 도시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인문논총, 60집.
김민승·류웅재 (2023). 희망과 불안의 양가적 공간으로서의 도시: 포항 도시재생 사업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54호.
곽영신·류웅재 (2022). 사회비판적 ‘K-콘텐츠’는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스카이캐슬〉,〈기생충〉,〈오징어 게임>의 분열하는 기호들. 한국언론학보, 66권6호.
이상진·류웅재 (2022). 글로벌 팬데믹 하 물질문화로서 LP 구매 및 수집에 대한 비판적 문화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38권2호.
노영은·류웅재 (2022). 장소성과 로컬(local), 문화콘텐츠의 정치경제학: 지역 문화산업으로서 광주비엔날레에 대한 비판적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52호.
김민승·류웅재 (2022). 대중문화 콘텐츠가 재현하는 지역과 청년들: 드라마에 대한 텍스트 분석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30권3호.
당지아·류웅재 (2022). 글로벌 미디어 콘텐츠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디즈니 실사영화〈MuLan〉의 사례. 영상문화콘텐츠연구, 통권 제26집.
곽영신·류웅재 (2021). 불평등 사회 속 공정 담론의 다차원성: 청년 공정 관련 신문사설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언론학보, 65권5호.
노영은·류웅재 (2021). 지상파 방송프로그램에 재현된 자기통치 공간으로서의 서울: 재현 공간으로서의 대도시와 각자도생(各自圖生)하는 청년들. 커뮤니케이션이론, 17권3호.
류웅재 (2020). 공유경제의 담론정치: 정부와 지자체 정책보고서의 비판적 담론분석. 문화와 정치, 7권3호.
노영은·류웅재 (2020). 유튜브 콘텐츠에 재현된 온라인 공간에서의 민족주의: 외국인 리액션 콘텐츠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통권 제20집.
딩종리·류웅재 (2020). 중국 청년세대의 토크쇼 프로그램 수용에 관한 연구:〈강연합시다〉와 〈기파설〉을 중심으로. 문화와 정치, 7권1호.
우박영·류웅재 (2019). 관찰형 리얼리티 TV 프로그램이 재현하는 리얼리티 특성에 관한 연구: 중국 호남 TV의 <동경하는 생활(向往的生活)>을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통권 제18집.
김진형·류웅재 (2019). 문화콘텐츠의 생태적 가치 인식과 생태주의 문화콘텐츠 구상. 글로벌문화콘텐츠, 제39호.
황현이·류웅재 (2019). 기업 사회공헌의 소외계층 담론: 삼성 단편영화 '별리섬'의 시선과 문화 정치적 함의. 사회과학연구논총, 35권1호.
이다혜·류웅재 (2017). 청년세대의 연애상담 리얼리티 텔레비전 수용에 관한 연구. 우리춤과 과학기술, 제39집.
류웅재 (2017). 위험한 불확실성의 시대, 쓰레기가 되는 삶들: 벡과 바우만을 경유해 ‘지금 이곳’의 주체를 돌아보기. 한국언론학보, 61권3호.
이영주·류웅재 (2017). 공공 커뮤니케이션과 언론의 실패, 위험한 정부에 대한 시론. 문화와 정치, 4권1호.
장소연·류웅재 (2017). 온라인 커뮤니티와 혐오의 문화정치: 일간베스트저장소와 메갈리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16권1호.
양려송·류웅재 (2017). 한국 리얼리티 TV 프로그램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우리춤과 과학기술, 제36집.
이다혜·류웅재 (2016). 청년세대의 리얼리티 TV 프로그램 수용에 관한 연구: ‘쿡방’과 ‘집방’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15권2호.
류웅재·최진호 (2016).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과 한국 사회의 위기 징후: 교황 방한 관련 언론 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언론학보, 60권1호.
류웅재·박정은 (2016). 남성의 명품 소비와 차이의 문화정치: 한국 사회 30대 남성의 소비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75호.
류웅재 (2015). 쿡방의 정치경제학: 주체의 자기통치의 관점에서. 문화/과학, 83호.
류웅재 (2015). 물질문화로서 아웃도어에 관한 연구: 아날로그적 물질문화에 관한 소고. 한국방송학보, 29권4호.
박정은·류웅재 (2015). 미디어로서의 명품 가방 소비에 관한 연구: 2030 세대의 소비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71호.
윤연주·류웅재 (2014). 지역 문화콘텐츠산업의 정치경제학: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우리춤과 과학기술, 제27집.
류웅재 (2014). 대학의 연구문화 낯설게 하기, 그리고 성찰적 대안의 모색. 커뮤니케이션이론. 10권1호.
이은아·류웅재 (2014). 멘토 권하는 사회: 신자유주의 시대, 멘토는 어떻게 생산되는가?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24호.
홍성현·류웅재 (2013). 무한 경쟁 시대의 글로벌 인재 되기: 글로벌 인재 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커뮤니케이션이론, 9권4호.
김현철·류웅재 (2013). 글로벌 경제위기의 인문학적 해석: 새로운 인식과 실천을 위한 이론적 지도 그리기. 커뮤니케이션이론, 9권1호.
류웅재 (2013). 재연보도 범람에 '정확하게 알 권리'는 실종. 신문과 방송, 509호.
최진호·류웅재 (2012). 신한류의 담론정치: 주요일간지 한류 보도에 관한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우리춤연구, 제19집.
류웅재 (2012). 지역 문화콘텐츠산업의 문제와 전망: 지자체 문화콘텐츠산업의 클러스터 모형을 중심으로. 우리춤연구, 제17집.
류웅재·박진우 (2012). 서바이벌 포맷 프로그램에 침투한 신자유주의 경쟁 담론: 프로그램의 채택과 제작과정에 대한 생산자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4권1호.
박성순·류웅재 (2011). 한류 문화산업에 대한 비판적 제언과 전망: 한류 및 중국문화 관련 문헌의 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우리춤연구. 제15집.
류웅재 (2010). 담론분석과 정치경제학의 조우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커뮤니케이션 질적 연구방법론의 몇 가지 논점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8권4호.
류웅재 (2009). 절충적 세계화와 국가의 담론정치: 한국 문화정경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3권5호.
류웅재 (2008). 한국 문화연구의 정치경제학적 패러다임에 대한 모색: 한류의 혼종성 논의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6권4호.
Ryoo, Woongjae & Jin Dal Yong (2020). Cultural Politics in the South Korean Cultural Industries: Confrontations between State-Developmentalism and Neoliberalism.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26(1).
Jin, Dal Yong & Ryoo, Woongjae (2014). Critical Interpretation of Hybrid K-Pop: The Global-Local Paradigm of English Mixing in Lyrics. Popular Music and Society, 37(2).
Ryoo, Woongjae (2009). Globalization, or the Logic of Cultural Hybridization: The Case of the Korean Wave.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19(2).
Ryoo, Woongjae (2009). The Public Sphere and the Rise of South Korean Civil Society.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39(1).
Ryoo, Woongjae (2008). The Political Economy of Global Mediascape: The Case of the South Korean Film Industry. Media, Culture & Society, 30(6).
Ryoo, Woongjae (2008). Problems of National Identity in an Era of Globalization: Turkey's Bid to Join the European Union.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15(1).
Ryoo, Woongjae (2008). Re-Imagining Regional Community through Popular Culture. Globalization of South Korea: Its Impact and Opportunities.
Ryoo, Woongjae (2005). Local Modes of Practice in an Age of Globalization: Renegotiating National Identity as enacted in South Korean Adverti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a and Cultural Politics, 1(2).
Ryoo, Woongjae (2005).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National Mediascape: The Case of South Korea. Global Media Journal, 4(6).
Ryoo, Woongjae (2004). Reconsidering Globalism: A Korean Perspective. Kaleidoscope, Vol.3.
(저서)
류웅재·김민승·노영은 (2025). 도시, 공간, 청년: 상품화한 도시 공간 속 창의적 삶의 정경들. 한양대학교 출판부.
류웅재 (2021). 미디어 담론 연구: 이론, 사례, 적용. 한나래.
원용진·홍석경·류웅재 외 (2020). 한류에서 교류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류웅재·최은경·이영주 (2015). 고어텍스와 소나무: 물질문화를 통해 본 소비의 문화정치학. 한울아카데미.
류웅재·김수철·이희은·이영주·성민규 (2013). 마르크스, TV를 켜다: 마르크스주의 미디어 연구의 쟁점과 전망. (역서). 한울아카데미.
류웅재·강승묵·이영주 (2011). 작은 문화콘텐츠 만들기: 문화, 지역, 삶을 매개하는 작은 문화콘텐츠 이야기. 한울아카데미.
조용철·강승묵·류웅재 (2009). 문화저널리즘. 다지리.
남순현·오관석·류웅재 (2008). 시민사회와 의식. 광인문화사.
류웅재·김덕모 (2008). 소통하는 문화기획론: 삶을 기획하는 열린 문화장을 위하여. 한국학술정보.
Ryoo, Woongjae (2014). Global Mediascape and the Cultural Hybridity: The Case of the Korean Wave. Scholar's Press.
Biligli, Can & Akbulut, Nesrin (eds.) (2012). Broken Grounds: Mass Communication and Cultural Transformation. Prof. Marin Drinov Academic Publishing House.
Biligli, Can & Akbulut, Nesrin (eds.) (2010). Media Critics 2010. Beta.
Olateju, Moji, Taiwo, Rotimi & Fakoya, Adeleke (eds.) (2007). Towards the Understanding of Discourse Strategies. OOU Press.
강의과목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사회, 스피치커뮤니케이션의이해, 미디어와문화, 대중문화와문화산업, 글로벌커뮤니케이션, 미디어문화산업의과제와전망, 커뮤니케이션이론세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