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방재연구실

지반방재연구실
담당교수 전공 연구실 전화번호 홈페이지
곽동엽 지반지진공학 Geohazard Laboratory
제2공학관 111호
031-400-4045 Geohazard Laboratory

지반방재연구실에서는 과거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 기록 및 관측기록을 활용하여 미래의 재난 이벤트에 의한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데이터 처리, 확률론적 분석, 모델 개발 등 기본적인 Data Analysis를 기반으로, 한반도 지반동적특성 조사, 지반운동예측모델 개발, 지진조기경보, 기반시설물 지진취약도 분석 등에 관한 연구를 현재 수행하고 있으며, 지반지진공학 분야에의 기계학습 적용, 액상화 현상 분석, 대규모 재난 이벤트 시 피해 상황 예측 등의 연구를 계획 중에 있다.
 
연구분야 주요연구내용 연구결과
지진 취약도 곡선 개발 구조물의 지진에 대한 취약도는 각 구조물의 단면을 분석하여 해석적 또는 수치적 방법으로 해석할 수도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방법을 사용하여 고속철도 시스템 전체의 일반적인 지진취약도 곡선을 개발함 Fragility curves with different damage level thresholds
 지진 취약도 곡선 개발
광범위 정보 수집 및 통계학적 상관관계 분석     한반도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원 정보와 지진관측소의 관측기록 수집 및 계기진도 계산
- 지진파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관측소의 센서 에서 기록한 시간이력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으므로, 관측기록 테이블은 지진원정보 테이블, 지진관측소 테이블과 연결이 되어야 함. 따라서 아래 그림과 같이 지진원 테이블의 고유번호인 EVTID와 지진관측소 테이블의 고유번호인 STID을 관측기록 테이블과 유기적으로 연결함
지진원-관측기록-지진관측소 간 관계설정 지진원-관측기록-지진관측소 간 관계설정

한반도 광범위 레이어(고도, 경사, 수계, 지질) 한반도 광범위 레이어(고도, 경사, 수계, 지질)
지표면 기준 진도추정 기술 개발 - 구조물 내 MEMS 센서에서 계측된 지진데이터를 지표면 기준의 진도로 추정하기 위하여 경험적 방법을 이용한 구조물의 응답 영향 분석.

- BSSA14 Ground Motion Model을 활용한 PGA 잔차 분석 수행으로 구조물 층수 별 비교 분석.
한반도 광범위 레이어(고도, 경사, 수계, 지질)
지표면 진도추정 절차 모식도
지표면 진도추정 절차 모식도

2019년 2월 10일 지진의 잔차 분석 결과
2019년 2월 10일 지진의 잔차 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