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하는 사람들 - 지방자치연구소
함께하는 사람들
한양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는 내부 조직개편을 통해 2025년 하반기부터 새로이 총 6개의 전문 연구 센터를 운영합니다.
전문 분야별로 구성된 "지역균형발전센터, 지방의정센터, 지방재정센터, 재정성과평가센터, 자치분권센터, 지속가능발전센터"는
지방자치 발전을 위하여 학술 연구, 교육, 대외활동 등을 활발히 수행하고자 합니다.
앞으로 학계, 현장 등과 활발히 교류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김 태 은 센터장
ceo@thefieldplayer.kr, ive8714@hanyang.ac.kr
학력 및 경력
- 한양대학교 대학원, 정책학 박사 (2022)
- 2025.03∼ 현재 : 한양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지역균형발전센터장
- 2024.06∼ 현재 : 주식회사 더필드플레이어 대표이사
- 2023.11∼ 현재 : 서울특별시 지방보조금관리위원회 위원
- 2023.03∼ 현재 : 한양대학교 산업융합학부 겸임교수
- 2021.12∼2022.12: 지방시대위원회(舊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지역산업·일자리 전문위원
- 2021.10∼ 현재 : 성동구청 지속가능발전위원회 부위원장
- 2019.06∼ 현재 : 태은랩앤코 대표
학술논문
- 김태은·이석환. 2021. 자기결정성이 빅데이터 정책 수용에 미친 영향: 광역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33권:제4호: 759-782.
- 김태은·모은정·양선모. 2020. 청와대 국민청원 이용자 분석: 활용 동인을 중심으로. 「정보화 정책」, 제27권:제1호: 92-114.
- 김태은·이석환. 2020.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 빅데이터 정책의 확산. 「한국공공관리학보」, 제34권:제1호: 1-25.
- 김태은. 2019. 전자투표시스템에 대한 우리나라 유권자의 태도 분석. 「입법과 정책」, 제11권:제3호: 5-30.
- 김태은. 2019. 환대 구성개념 측정을 위한 실증적 범용 척도 개발.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9권:제2호, 1-35
- 김태은·최승인. 2019. 베스트댓글에 대한 인지가 온라인 감정전이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입법과 정책」, 제11권:제1호: 335-364
- 김태은·정보미. 2019. 보조상기에 의한 개인의 감정이 정책과 정권 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감, 만족은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문화와 정치」, 제6권:제4호: 171-203.
저서
- 김태은 외. 2021. 속삭이다, 청년. 서울: 잔잔
연구보고서
- 2024.04∼2024.11: 동작구 상권 활성화 성과 모니터링 연구 용역. 동작구 상권활성화사업단
- 2023.11∼2023.02: 노원구 주거 관련 정책 수립 용역. 노원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2023.11∼2023.12: 성동구 청소년체험학습카드 만족도 조사 연구 용역.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23.10∼2023.12: 성동구 성년출발지원금 만족도 조사 연구 용역.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23.10∼2023.12: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교육 과정 개발. 중앙대학교
- 2023.09∼2023.12: 사천시 시설관리공단 중장기 전략경영계획 수립 연구 용역. 경상남도 사천시 시설관리공단
- 2023.08∼2023.11: 동작구 상권 활성화 성과 모니터링 연구 용역. 동작구 상권활성화사업단
- 2023.07∼2023.12: 2023 속초시 조직분석 및 진단 연구.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 2023.06∼2023.10: 고속도로 건설사업 지표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도로공사
- 2023.05∼2023.07: 사근동 舊 동청사 활용을 위한 연구 용역.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22.09∼2022.12: 성동구 1인가구 실태 조사 및 범용적 건강 척도 개발 연구. 성동구1인가구지원센터
- 2021.08∼2021.08: 고양시 여성폭력 실태조사 데이터 분석 용역. 고양연구원
박 순 종 센터장
bbaks95@naver.com
학력 및 경력
- 한양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2016)
- 2025.03~ 현재 : 한양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지방의정센터장
- 2023.04~ 현재 : 자치와 의회 연구소 대표
- 2023.07~ 현재 : 부여군의회 입법고문
- 2021.03∼ 현재 :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겸임교수
- 2018.03∼2021.02 : 숭실대학교 행정학부 초빙교수
- 2012.05∼2023.03 : 서울특별시의회 입법조사관
학술논문
- 박순종·여차민. 2023. 단체장에 대한 지방의회 통제유형의 실제: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7(2):159~182.
- 박순종·박기관. 2022.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을 위한 의회직렬 신설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4(2): 65~86.
- 박순종·박기관. 2022. 지방의원 유급제 도입과 의정활동 변화 실태 분석:역대 기초의회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6(2): 139~161.
- 박순종·박기관. 2022. 지방의원 유급제 도입과 광역의회 의정활동 성과 변화 비교 분석. 「지방정부연구」. 26(1): 351~371.
- 이석환·박순종, 2021.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의 상대적 불평등 변화. 「한국공공관리학보」. 35(4): 111~127.
- 박순종·이승모. 2021. 지방자치 부활이후 지방의회 의정활동에 대한 시계열적 평가.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3(3): 1~26.
- 박순종. 2021. 지방의회의원 정책지원 전문인력 도입을 위한 쟁점과 차등적 제도 설계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3(2):119~145.
- 이승모·박순종·이석환. 2021. 신규 지방공무원 기본교육훈련의 전이효과 영향요인 분석: 신규자와 중간관리자의 비교.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5(1): 141~171.
- 박순종·신현두. 2019. 정부간 관계론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중앙과 지방의 관계: 서울시 청년수당과 성남시 청년배당을 사례로. 「한국행정학보」. 53(2): 61~90.
- 윤혜진·박순종. 2019. 지방의회 청원 처리결과의 영향요인 분석: 제7대~제9대 서울시의회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1(2): 237~262.
- 윤혜진·박순종. 2018. 한국 인사청문회 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국회와 지방의회 도입 실태 및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0(3): 183~205.
- 신현두·박순종. 2018. 중앙-지방간 정책갈등 분석과 그 함의: 서울시 청년수당 지원 사업을 사례로. 「한국정책학회보」. 27(2):161~192.
- 박태헌·박순종·강상원. 2017. 지방의회 의정활동 성과평가와 시사점: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출범이후 10년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9(3): 135~160.
- 박순종. 2017. 중앙과 지방, 단체장과 지방의회 간 입법갈등: 서울시 조례안에 대한 재의·제소 사례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15(1): 33~68.
- 박순종·최병대. 2016. 정책의 법제화 소요기간 영향요인 분석: 지방정부의 조례안 발의 이후 정치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0(4): 355~387.
- 박순종·최병대. 2016. 분점정부와 입법효율성: 서울시와 경기도를 사례로. 「한국행정학보」. 50(3): 161~188.
- 박순종·최병대. 2016. 조례안 처리 소요기간 분석과 그 함의: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5(2): 283~310.
- 박순종·최병대. 2015. 지방자치단체 인사청문회제도의 도입실태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2): 271~292.
- 박순종·최병대. 2014. 지방의회의 조례안 처리 소요시간에 관한 실증분석: 서울시의회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6(3): 127~152.
- 박순종·박노수. 2014. 지방의회 의원 보좌관제도의 차등적 도입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7(3): 61~89.
저서
- 박순종 외 공저. 2018. 지방의회 아는 만큼 잘할 수 있다!. 서울: 알파미디어
- 박순종 외 공저. 2023. 지방의회도 인사청문회를 한다. 서울: 박영사
연구보고서 (2015년 이후)
- 2016.09~2017.02: 입법지원체계 개선 연구. 제주특별자치도의회
- 2018.10~2018.12: 마포구 동 행정구역 조정에 관한 연구. 마포구청
- 2020.09~2020.12: 지방의원 의정활동 가이드 연구. 전라남도의회
- 2023.04~2023.05 : 하남도시공사 종합복지타운 관리(대행)사업 사업타당성 검토 용역. 하남도시공사
- 2023.06~2023.10: 국회의원과 지방의원(광역/기초) 권한 등 차이 비교 분석. 경기도의회
- 2023.09~2023.12: 서울특별시의회 정책지원관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서울시의회
- 2024.05~2024.10: 군포시 소상공인 지역 상권 활성화 방안 연구. 군포시의회
- 2024.04~2024.06: 여주시 자치법규 정비방안 연구. 여주시청
- 2024.05~2024.09: 기업-자자체 인재교류 활성화 연구용역. 행정안전부
- 2024.07~2024.12: 공공의료 활성화를 위한 서대문구의회 역할 강화 방안 연구. 서대문구의회
- 2024.08~2024.10: 서울특별시 정책지원관 양성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여 차 민 센터장
yuhcm@daum.net
학력 및 경력
- 한양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2007)
- 2025.03∼ 현재 : 한양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지방재정센터장
- 2023.03∼ 현재 : 와이앤리서치 대표
- 2021.03~2023.03: 민주연구원 연구위원
- 2011.11∼2021.03: 서울시의회 예산정책담당관
- 2009.06∼2011.11: 국회예산정책처 행정사업평가팀 사업평가관
- 2008.09~2009.07: 국회 규제개혁특별위원회 겸무 사업평가관
- 2007.10∼2009.05: 국회예산정책처 경제사업평가팀 사업평가관
- 2007.06~2007.09: 한국경제연구원.전경련 규제개혁추진단 참여연구원
- 2004.07~2004.09: 한국생활안전연합 초빙연구원
- 2002.03~2004.03: 한양대학교 행정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 1996.01~1998.06: 현대자동차 사원
학술논문
- 박순종, 단체장에 대한 지방의회 통제유형의 실제: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7(2): 159-182, 2023.
- 신현두, 지역안전지수를 활용한 지역안전 개선방안 연구: 종로구 화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5(4): 59-88, 2021.
- 박종철, 지하철 노인 무임승차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조합 모색: 서울시 정책대안 비교분석의 함의, 「한국공공관리학회보」, 35(1): 1-27, 2021.
- 이석환, 조직성과지표를 활용한 지방공기업의 성과평가, 「지방공기업학회보」, 13(1): 57-79, 2017.
- 강상원․이석환, 복지정책 만족의 인식요인 연구, 「한국행정논집」, 28(4): 627-653, 2016.
- 이석환, 위험결정의 사회경제적 요인, 「한국행정논집」, 28(1): 1-25, 2016.
- 이석환, 특구정책의 지역경제활성화 효과,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9(1): 59-85, 2015.
- 이석환, 지방자치단체 조기집행의 효과, 「한국행정논집」, 26(4): 665-686, 2014.
- 통합재난관리이론의 분석적 해석: 재난관리체계 설계에의 정책적 함의, 「한국정책학회보」, 23(4): 441-468, 2014.
- 규제예산의 논의: 쟁점, 제도화의 탐색적 분석, 「규제연구」, 22(2): 143-181, 2013.
- 권혁소․이정수, 서울시 자치구의 사회복지보조금 결정요인, 「서울도시연구」, 14(4): 223-242, 2013.
- 이석환․하현상, 지역특구제도의 선별적 규제완화 효과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5(2): 133-158, 2013.
- 이혁우․김주찬․김태윤, 의원입법에 대한 규제영향분석의 필요성 연구, 「규제연구」, 20(1): 33-62, 2011.
- 재난관리사업의 특별회계설치에 관한 연구: 하천정비사업의 사례,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2(4): 241-264, 2010.
- 김태윤, 위험및안전규제 비용편익분석의 현실적 요건모색, 「규제연구」, 18(1): 207-243, 2009.
- 김태윤, 재난이론의 관점에서 본 실패론의 함의, 「한국행정연구」, 15(2): 245-272, 2006.
일반논문
-
규제예산제도란 무엇인가?, 「예산춘추」, vol.20, 가을호, 2010, pp.55-60. 국회예산정책처.
-
정부 규제영향분석의 내실화를 위한 제언, 「예산춘추」, vol.19, 여름호, 2010, pp.50-54. 국회예산정책처.
-
소하천 정비사업 평가와 시사점, 「NABO 재정브리프」, 제8호, 2008.12, pp.63-72. 국회예산정책처.
-
최미희, 정부 규제영향분석서 평가에 기초한 규제개혁과제, 「NABO 재정브리프」, 제6호, 2008.6, pp.1-17. 국회예산정책처.
-
미국 규제예산제도 도입의 시사점, 「NABO 재정브리프」, 제4호, 2007.12, pp.78-87. 국회예산정책처.
연구보고서
-
「지방자치단체 예산편성 실태 및 중앙이전재원 변동에 따른 대응내역 연구」, 강남구의회, 한태식 지방재정연구소, 2024.
-
「지방정치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혁 방안」, 의정부시의회, 와이엔리서치, 2024.
-
「북구형 복지정책 개발 및 자치법규 정비안 연구」, 광주광역시북구의회, (사)지방자치발전소, 2023.
-
「안전관리 대상 공산품 및 유해물질 선정의 규제영향분석 연구」, 기술표준원․한국규제학회, 2006.
-
「공산품 안전관리제도 규제영향 분석에 관한 연구」, 기술표준원․한국규제학회, 2005.
-
「미래사회대비 안전관련 법과 정책에 관한 분석」, (사)한국생활안전연합․대통령 미래사회위원회, 2004.
-
「부패영향평가제도의 개발」, 한양대행정문제연구소, 2004.
「경쟁제한적 제도의 타당성검토 및 합리적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규제학회, 2004. -
「합리적인 민자사업 수익률 책정방안 연구」, 기획예산처․한양대행정문제연구소, 2003.
「중구시설관리공단 설립타당성검토보고서」, 한양대학교행정문제연구소, 2003.
「규제투명성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국무조정실, 2002. -
그 외 다수
일반보고서
-
「서울특별시 예산안 분석」(총괄분석), 서울특별시의회사무처, (2011~2020 각연도)
-
「서울특별시 결산 분석」(총괄분석), 서울특별시의회사무처, (2017~2020 각연도)
-
「서울시 및 교육청 주요 시책사업 분석․평가보고서」(조정), 서울시의회 예산정책담당관, (2012~2020 각연도)
-
「서울시 예산․재정분석」(기획․조정), 서울시의회 예산정책담당관, (2015~2020 각연도)
-
「서울시 12개 특별회계 분석」(기획․조정), 서울시의회 예산정책담당관, 2020.8.
-
그 외 다수
조 기 현 센터장
krilackh@naver.com
학력 및 경력
- 한양대학교 경제학박사(1995)
- 2024.02~현재 : 행정안전부 지방공사채발행 사전승인심의위원
- 2023.01~현재 : 행정안전부 정책자문위원
- 2022.09~현재 :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자문위원
- 2022.03~현재 : 한국지방세연구원 자문위원
- 2022.01~현재 : 행정안전부 지방세발전위원회 자문위원
- 2022.01~2022.12 : 한국지방재정학회 회장
- 2021.10~2024.04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 소장
- 2012.09~2021.12 :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지방자치학과 겸임교수
- 2019.01~2020.01 : 국무조정실 생활SOC추진단 자문위원
- 2018.02~2021.09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재정연구실 실장
- 2008.05~2010.12 : 대통령자문 지역발전위원회(현 지방시대위원회) 파견
- 2007.04~2021.09 : 감사원 평가연구원 자문위원
- 2007.01~2007.12 : 보건복지부 기초노령연금 자문위원
학술논문
- 전승훈․강희진․조기현(2022), 지방자치단체의 대규모 투자사업 예산확보를 위한 결정요인 분석: 공공선택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집」, 27(3), 한국지방재정학회
- 조기현(2018), 지니계수 분해기법을 이용한 시군 조정교부금의 재정형평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논집」23(2), 한국지방재정학회
- 조기현․유태현․이장욱(2017), 레저세의 광역기초간 공동재원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27(3), 한국분서평가학회
- 조기현․이장욱(2017), "보통교부세 보정계수 기능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논집」22(1), 한국지방재정학회
- 조기현(2017), 보통교부세 보정계수의 정책기능 회복을 위한 대안 모형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31(3),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조기현(2007), “분권교부세 재원확충의 정책유효성 검증 : 지방재정 세출기능의 소득탄력성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1(1),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조기현·서정섭(2003), “중앙-지방간 재정관계의 조정”, 「한국지방재정논집」 8(1), 한국지방재정학회
- 조기현(2002), “산업별 집적경제와 외부성 분석”, 「지방행정연구」, 16(2),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조기현(2002), “보통교부세 산정방식에 관한 연구 – 보정계수 및 인센티브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집」7(2), 한국지방재정학회
- 조기현(2001),“지방채제도의 재구축 : 신용평가모형의 유용성과 한계”, 「지방행정연구」15(1),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조기현(2001),“지방채무 관리정책으로서 신용평가제도의 유용성”, 「한국지방재정논집」6(2), 한국지방재정학회
- 조기현(2001), “지방채발행제도의 한계와 정책대응 – 기채승인권과 승인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집」6(1), 한국지방재정학회
- 조기현(2000),“지역별 경기변동과 고용시장의 특성”, 「지방행정연구」14(1),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조기현(1999), “조정교부금제도의 비판적 검토와 정책방향”,「지방재정연구」, 4(2), 한국지방재정학회
- 조기현(1998), “IMF체제 이후 지방채정책의 방향”3(1),「지방재정연구」, 한국지방재정학회
- 조기현(1996),“시계열이론을 이용한 이전재정의 형평화효과 분석”,「지방행정연구」11(3),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 전성만․조기현(2020), 「농민수당이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 조기현․전성만(2019), 「문재인정부 재정분권의 성공적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 전성만․조기현(2019), 「지자체간 상호협력촉진을 위한 재정협력제도 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 조기현․여효성(2018), 「재정분권시대 보통교부세 발전방향: 재정형평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 이효․조기현․전성만(2018), 「자치분권에 부합하는 지방재정관리제도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 조기현․이장욱(2018), 「재정분권 실효성 확보를 위한 지방교부세제도 역할 재정립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 조기현․여효성(2017), 「지방자치단체 가용재원 중장기전망과 정책대응」,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 조기현․이장욱․김성찬(2017), 「인구감소지역 재정지원체계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 조기현․이장욱(2016), 「광역-기초 간 지방 공동재원 운영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 서정섭․조기현(2016), 「지방채무 총량관리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 서정섭․조기현(2016), 「지역개발 제한지역 재정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 조기현․김성주(2016), 「전지역 공통수요 지역개발 사무 투자현황 조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 조기현․윤태섭(2015), 「보통교부세 표준행정수요 산정모델 개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 서정섭․조기현(2015), 「의무성 국고보조사업의 기준보조율 법정화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 조기현․이희재(2015), 「광역교통시설부담금 조기 일시납부 할인제도와 체납액 해소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포상
- 행정안전부장관 표창 : 2007년, 2018년
- 국무총리 표창 : 2002년
- 대통령표창 : 2015년
강 상 원 센터장
stern00@naver.com
학력 및 경력
- 한양대학교 대학원, 정책학 박사 수료 (2022)
- 2025.03~현재: 한양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지속가능발전센터장
- 2018.12~현재: 소셜혁신연구소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 2019.05∼현재: 소셜벤처코리아 대표
- 2018.03∼2025.02: 한양여자대학교 행정실무과 교수
- 2018.03∼2025.02: 한양여자대학교 ESG연구소 소장
학술논문
- 안지훈, 차성미 외. 2019. 소셜벤처와 기업가정신 교육참여동기가 교육성과,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숲 소셜벤처 이노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8권:2호: 1-21.
- 안지훈. 2019. 사회적 가치와 소셜벤처. 「건축」, 63권:8호: 31-23.
- 안지훈. 2020. 소셜벤처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청년층의 추구정향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안지훈. 권영태 외. 2023. 학교 ESG 교육의 방향성-내용적, 영역적 방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23호: 99-118.
저서
- 안지훈. 2019. 소셜벤처와 사회적 가치. 정독
- 안지훈. 2021. 쓰레기 사전: 지속가능한 지구를 지키는 유일한 방법. 정독
- 안지훈, 이성배 외. 2022. 클릭:누구도 알려주지 않았던 투자 이야기. 오늘아침
- 안지훈. 2014. (현재와 미래를 잇는) ESG와 지속가능발전, 한빛아카데미
연구보고서 (2015년 이후)
- 2023.07~2023.10: 마포구 문화예술 콘텐츠 활용 및 개발을 통한 전략. 마포구의회
- 2022.12~ 2023.06: 토의‧토론을 통한 학습자 중심 ESG 교육교재 개발. 서울특별시교육청
- 2022.05~2022.10: ESG를 적용한 학교민주시민교육 과정 정책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 2022.04~2022.06: 서울특별시의 ESG경영지원조례 제정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의회사무처
- 2021.06~2021.10: 사회적가치 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 2021.05~2021.07: 서울시의 재정건전성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의회사무처
- 2021.02~2021.05: 중구 쓰레기 문제 해소를 위한 전략 정책 연구. 서울특별시 중구청
- 2020.09~2020.11: 사회적 가치 기반 창업을 통한 동북4구 발전 전략. 서울특별시 의회사무처
- 2020.09~2021.02: 2020년 [서울 도시 인문학] 지원사업. 서울연구원.
- 2019.01~2018.09: 소셜벤처 육성 및 발전 방향 수립 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18.11~2019.01: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중장기 계획 수립 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18.09~2018.12: 사회적 가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소셜벤처 조직 지원을 위한 입법 연구. 국회사무처
- 2018.09~2018.11: 서울숲 소셜벤처 이노스쿨 성장랩 설계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18.08~2018.11: 서울숲 소셜벤처 이노스쿨 도전랩 설계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18.07~2018.09: 서울숲 소셜벤처 이노스쿨 상상랩 설계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18.07~2018.09: 청년 일자리교육 플랫폼 설계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안 지 훈 센터장
vjeehoon@gmail.com
학력 및 경력
- 한양대학교 대학원, 정책학 박사 수료 (2022)
- 2025.03~현재: 한양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지속가능발전센터장
- 2018.12~현재: 소셜혁신연구소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 2019.05∼현재: 소셜벤처코리아 대표
- 2018.03∼2025.02: 한양여자대학교 행정실무과 교수
- 2018.03∼2025.02: 한양여자대학교 ESG연구소 소장
학술논문
- 안지훈, 차성미 외. 2019. 소셜벤처와 기업가정신 교육참여동기가 교육성과,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숲 소셜벤처 이노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8권:2호: 1-21.
- 안지훈. 2019. 사회적 가치와 소셜벤처. 「건축」, 63권:8호: 31-23.
- 안지훈. 2020. 소셜벤처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청년층의 추구정향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안지훈. 권영태 외. 2023. 학교 ESG 교육의 방향성-내용적, 영역적 방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23호: 99-118.
저서
- 안지훈. 2019. 소셜벤처와 사회적 가치. 정독
- 안지훈. 2021. 쓰레기 사전: 지속가능한 지구를 지키는 유일한 방법. 정독
- 안지훈, 이성배 외. 2022. 클릭:누구도 알려주지 않았던 투자 이야기. 오늘아침
- 안지훈. 2014. (현재와 미래를 잇는) ESG와 지속가능발전, 한빛아카데미
연구보고서 (2015년 이후)
- 2023.07~2023.10: 마포구 문화예술 콘텐츠 활용 및 개발을 통한 전략. 마포구의회
- 2022.12~ 2023.06: 토의‧토론을 통한 학습자 중심 ESG 교육교재 개발. 서울특별시교육청
- 2022.05~2022.10: ESG를 적용한 학교민주시민교육 과정 정책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 2022.04~2022.06: 서울특별시의 ESG경영지원조례 제정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의회사무처
- 2021.06~2021.10: 사회적가치 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 2021.05~2021.07: 서울시의 재정건전성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의회사무처
- 2021.02~2021.05: 중구 쓰레기 문제 해소를 위한 전략 정책 연구. 서울특별시 중구청
- 2020.09~2020.11: 사회적 가치 기반 창업을 통한 동북4구 발전 전략. 서울특별시 의회사무처
- 2020.09~2021.02: 2020년 [서울 도시 인문학] 지원사업. 서울연구원.
- 2019.01~2018.09: 소셜벤처 육성 및 발전 방향 수립 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18.11~2019.01: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중장기 계획 수립 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18.09~2018.12: 사회적 가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소셜벤처 조직 지원을 위한 입법 연구. 국회사무처
- 2018.09~2018.11: 서울숲 소셜벤처 이노스쿨 성장랩 설계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18.08~2018.11: 서울숲 소셜벤처 이노스쿨 도전랩 설계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18.07~2018.09: 서울숲 소셜벤처 이노스쿨 상상랩 설계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2018.07~2018.09: 청년 일자리교육 플랫폼 설계연구. 서울특별